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14일 "금리상승기에 가계부문의 대응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장기 대출을 유도하고 고정금리 비중을 확대하는 등 가계대출의 구조적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날 서울로얄호텔에서 열린 '고려대 글로벌 CEO(최고경영자) 과정 조찬 세미나'에서 "금융위기 중 가계부문의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을 겪은 미국 영국 등과 달리 우리나라는 가계 부채가 꾸준히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가계부문 건전성은 아직까지는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가계 금융자산의 빠른 증가로 상환 능력은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계부채의 69%가 소득기준 4~5분위에 해당하는 고소득층에 집중돼 있고 신용등급 8~9등급의 하위신용계층의 대출 비중이 감소세에 있는 등 질적으로 양호하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가계대출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주택가격 안정은 가계부문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므로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이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저소득층과 하위 신용계층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대출금리 인하 유도 등 지원책을 강구하겠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예대율 규제 등을 통해 과도한 가계부채 증가율을 억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