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개발 PF자금조달 실패…지연 불가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행사, 중도금 등 7000억 미납
총 사업비 28조원 규모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땅값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업 지연이 우려되고 있다.
14일 서울시와 코레일 등에 따르면 용산국제업무지구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는 지난달 말까지 코레일에 납부키로 했던 토지대금과 계약금을 납부하지 못했다.
미납된 대금은 1~4차로 나눠 지급해야 하는 토지대금과 관련한 2차 계약분 중도금 3000여억원과 분납이자 800여억원,4차 계약금 3000여억원 등 총 7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면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도 얼어붙어 자금조달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땅 주인인 코레일은 드림허브 측에 미납금액에 대한 연 17%의 연체료를 부과하고 대금납부를 촉구하고 있다. 하루 연체 이자만 1억8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 관계자는 "드림허브 측과 계약이 해지된 것은 아니다"며 "자금납부를 마치고 서둘러 계약을 체결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계약은 유효하지만 드림허브가 올해 중 예정했던 사업계획 수립 및 용산 서부이촌동 등에 대한 토지 보상작업 등의 사업절차는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드림허브는 4차 계약금 미납으로 땅을 코레일로부터 넘겨받지 못해 보상은 물론 마스터플랜 변경,각종 인 · 허가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용산국제지구 개발 사업이 장기간 답보상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토지보상 지연에 따른 주민들의 반발도 거세질 전망이다.
드림허브는 토지대금 7000여억원과 사업비 등을 포함,1조원을 조달하고 내년까지 발생하는 자금부족분에 대해 토지대금을 활용한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지급보증 등을 놓고 사업시행자와 투자자 간에 갈등을 겪고 있어 성사 여부가 불확실한 상태다.
한편 대규모 복합개발사업의 상징처럼 여겨져 온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위기를 겪으면서 이와 비슷한 전국의 대규모 개발사업도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14일 서울시와 코레일 등에 따르면 용산국제업무지구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는 지난달 말까지 코레일에 납부키로 했던 토지대금과 계약금을 납부하지 못했다.
미납된 대금은 1~4차로 나눠 지급해야 하는 토지대금과 관련한 2차 계약분 중도금 3000여억원과 분납이자 800여억원,4차 계약금 3000여억원 등 총 7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면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도 얼어붙어 자금조달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땅 주인인 코레일은 드림허브 측에 미납금액에 대한 연 17%의 연체료를 부과하고 대금납부를 촉구하고 있다. 하루 연체 이자만 1억8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 관계자는 "드림허브 측과 계약이 해지된 것은 아니다"며 "자금납부를 마치고 서둘러 계약을 체결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계약은 유효하지만 드림허브가 올해 중 예정했던 사업계획 수립 및 용산 서부이촌동 등에 대한 토지 보상작업 등의 사업절차는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드림허브는 4차 계약금 미납으로 땅을 코레일로부터 넘겨받지 못해 보상은 물론 마스터플랜 변경,각종 인 · 허가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용산국제지구 개발 사업이 장기간 답보상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토지보상 지연에 따른 주민들의 반발도 거세질 전망이다.
드림허브는 토지대금 7000여억원과 사업비 등을 포함,1조원을 조달하고 내년까지 발생하는 자금부족분에 대해 토지대금을 활용한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지급보증 등을 놓고 사업시행자와 투자자 간에 갈등을 겪고 있어 성사 여부가 불확실한 상태다.
한편 대규모 복합개발사업의 상징처럼 여겨져 온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위기를 겪으면서 이와 비슷한 전국의 대규모 개발사업도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