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에는 두 가지 사안이 관심을 끈다. 첫 번째는 천안함 침몰사고의 후폭풍이고 두 번째는 21일 발표될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경제 전망 결과다.

천안함 침몰사고의 원인 분석 결론이 어떻게 나오는지,우리 정부가 어떤 대응을 취하는지에 따라 상황은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천안함 침몰사고에 북한이 개입한 것으로 결론이 날 경우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정부의 대응 수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금융시장은 북한 리스크 등장에 따른 충격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금융시장이 받는 충격은 단기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북한과 관련된 사태가 터진 뒤 이틀째 정도부터는 안정을 되찾는 흐름을 보였다. 이번에도 크게 다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북한 개입→군사적 보복→남북 극한 대치 등 최악의 사태로 치달을 경우는 사정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과거 경험하지 못한 수준으로 사태가 전개될 경우 경제 전반에 불안 심리가 증폭돼 소비 투자에도 영향을 미치고 회복 단계인 한국 경제에 타격을 입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상무)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IMF의 세계경제 전망에선 한국 경제에 대한 성장률 수정 전망치가 나온다. 성장률 상향조정 가능성이 매우 유력하다. 천안함 침몰사고의 후폭풍으로 가라앉은 금융시장의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는 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MF는 이번 전망에서 최근 주요국의 회복세를 점검하고 세계경제 및 주요국 성장률 수정 전망치를 내놓을 예정이다.

3.9%로 내다봤던 세계경제 성장률이 상향조정될 경우 한국의 성장 전망률도 덩달아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다. IMF는 작년 12월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6%에서 4.5%로 0.9%포인트 올린 뒤 아직까지 추가 조정이 없다.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산업생산 및 투자 소비 등 실물지표가 개선되고 고용도 회복되는 추세인 만큼 성장률이 5%대로 상향조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주에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3일 워싱턴에서 개막된다. 국내 금융계에도 관심사로 부상한 '은행세' 도입과 대형 금융사 규제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은행세 논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관심이다.

경제부 차장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