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등 민간에서도 자발적인 녹색소비자 운동을 통해 지역별 녹색구매 환경을 조성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2005년 7월 '친환경 상품 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 공공기관의 녹색구매에 대한 관심과 지자체들의 친환경 상품 구매를 위한 제도적 실천방안 마련을 위한 노력이 늘고 있는 데 비해 민간부문의 활동은 상대적으로 약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친환경 녹색제품 유통매장을 운영하거나 녹색 소비자를 위한 교육 · 홍보에 나서는 민간단체들이 하나 둘씩 늘고 있는 상태다.

경기 녹색살림실천단이 대표적이다. 경기지역에서 소비자운동이나 환경운동을 해 오던 NGO(비정부기구)를 중심으로 2006년부터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출범 첫해에는 안산 · 평택 · 과천 등 3개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을 벌였지만 2008년에는 8개 지역까지 늘어났다.

실천단의 기본활동은 매월 한 가지씩 녹색살림과 관련된 내용을 공유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천지침 리스트를 작성해 가정에서의 녹색구매 활동을 체크하고 있다. 지역별로 생산되는 친환경 녹색제품을 발굴해 전시회를 열기도 한다.

녹색상품을 생산하는 업체를 견학하는 행사도 빼놓지 않는다. 생산과정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녹색구매를 실천하는 데 중요한 동기부여가 된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실천단은 경기도 용인에 있는 리바트 가구 공장을 방문해 친환경 제품 생산과정과 이를 기반으로 한 기업경영 등에 대해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경기도 안산의 경우 안산시와 안산녹색소비자연대,친환경 제품 제조기업이 공동으로 개설한 '친환경 상품 지원센터'가 눈에 띈다. 지난해 5월 설립된 지원센터는 초 · 중 · 고등학생은 물론 일반시민과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친환경 제품 이용과 녹색생활 문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지역 내 녹색상품을 홍보해 이들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의 판로 개척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친환경상품제조협회(회장 이정옥)의 경우 매년 경기도 내 31개 시 · 군에서 친환경 상품 순회전시회을 열고,공무원을 대상으로 친환경 상품 구매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서울시,이마트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이마트 안에 친환경상품 전문매장을 개설해 운영 중이다. 우정사업본부 우편사업지원단과도 협약을 맺어 우체국 쇼핑몰 안에 녹색구매 코너를 운영하고,지난 2월에는 한국교직원공제회와 교원나라 학교장터에 친환경상품구매코너를 개설키로 협약을 맺기도 했다. 올 들어서는 지난달 안양시 청사에 '친환경 상품 녹색매장' 1호점이 문을 열었다. 협회는 녹색매장 유치를 신청한 인천광역시,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등 20여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친환경 상품 녹색매장을 설치할 계획이다.

정혜승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원은 "민간부문의 녹색구매 활성화는 아직 미미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지만 민간단체와 일반시민의 참여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