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 중심지인 충북 충주에서도 구제역(口蹄疫)이 발생했다. 강화 · 김포 지역에 이어 세 번째다. 정부는 구제역 위기경보 단계를 차상위 수준인 '경계(Orange)'로 유지하되 최고 단계인 '심각(Red)'에 준하는 대응 태세를 갖추기로 하는 등 구제역 확산 방지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충주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정부의 저지선이 여지없이 뚫렸음을 뜻한다는 점에서 보통 문제가 아니다. 충주는 내륙 교통의 중심지인데다 소에 비해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력이 최대 3000배에 달하는 돼지가 감염돼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돼 나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렇다.

피해액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구제역이 첫 발생한 8일 이후 살처분됐거나 살처분 예정인 소 돼지 등이 모두 4만2500마리에 이르고 이미 지급된 살처분 보상금만도 432억원에 달한다. 게다가 이번 구제역은 아직 감염경로조차 파악되지 않은데다 '현재 진행형'인 상태여서 모두 16만여 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됐던 지난 2002년의 악몽이 재연될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구제역 위기경보 제도를 도입한 이후 처음으로 사실상 '심각'경보를 발령하고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직접 사태를 진두지휘키로 한 것은 당연한 조치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구제역 발생 농가 반경 3㎞ 이내의 우제류(발굽이 2개인 동물)를 서둘러 살처분하는 한편 가축 사람 차량 등의 이동을 철저히 통제하고 방역에 만전을 기하는 일이다. 이와 함께 이번 구제역의 감염 경로와 매체 등에 대한 역학관계도 하루빨리 파악해 감염 지역이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않으면 안된다. 해외여행객에 의한 감염, 황사에 의한 감염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함은 물론이다.

사육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도 힘을 기울여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살처분 보상금, 송아지 등의 입식 자금, 정책 자금 등을 적시에 지원함으로써 해당 농가들이 생계를 꾸려나가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살처분 확대로 인해 쇠고기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急騰)할 가능성도 없지 않은 만큼 이에 대한 대책 또한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