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28일 입학사정관제와 EBS 수능강의 등 사교육비 경감 방안이 형식적으로 운영돼 실효성이 미흡하다고 지적한 데 대해 교육과학기술부와 EBS는 대부분 지적사항을 이미 개선했다고 밝혔다.

EBS는 수능강의 조직ㆍ인력이 미흡하다는 지적과 관련해 이날 자료를 내고 "지난해 10월 감사가 이뤄진 뒤 연말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수능강의 업무를 총괄하는 학교교육본부를 설치하고 그 밑에 학교교육기획부(수능강의 기획ㆍ편성), 출판기획부(수능교재 개발ㆍ편집), 이러닝제작부(수능강의 제작)를 뒀으며, 수능강의 평가나 연구개발을 맡는 교육방송연구소를 신설하고 관련 전문가를 영입했다는 것이다.

또 각종 사업 이익 중 50억원을 수능강의 사업에 재투자하고 있고, 무상 교재 지원 등에도 4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EBS는 수능 연계율은 자체 분석하지 않고 객관성을 높이려 관련 교수로 교과전문위원회를 꾸려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무늬만 입학사정관제'가 많다는 감사원 지적에 대해 "지난해 말 대학 현장조사 때 적발된 11개대, 1천359명을 입학사정관 전형 실적에서 빼도록 하는 한편 이들 대학에는 올해 지원 때 일부 불이익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올해 입학사정관제 지원 사업 때 각종 사교육 유발 요인을 전형요소에 포함하거나 지원자격으로 삼는지, 형식적인 전형을 하는지 등의 `전형 적합성'을 평가 항목에 넣었다고 밝혔다.

텝스ㆍ토플 등을 반영하는 외고 전형과 관련해서도 교과부는 "올해부터는 외고, 과학고 등 특목고뿐 아니라 자립형 사립고(자사고), 자율형 공ㆍ사립고(자율고)도 중학교 내신성적과 면접 전형으로만 학생을 선발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