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술자리 후유증,‘야근 피로보다 두 배 심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직장인들이 야근으로 인해 느끼는 피로감보다 전날 술자리가 업무에 미치는 영향이 두 배가량 큰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10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술자리 후유증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력(최대 5점)은 평균 2.3점으로 야근 후유증(1.2점)보다 두 배 정도 높았다.
술자리 후유증(복수응답)으로는 ‘아침에 일어나는게 힘들다’(74.2%)는 대답이 가장 많았고 ‘속이 좋지 않다’(61.6%)와 ‘업무집중력이 떨어진다’(55.4%)가 뒤를 이었다.다음으로 ‘업무시간에 졸게 된다’(25.8%),‘목소리가 잠기거나 떨린다’(16.9%),‘회사에 지각한다’(15.1%),‘손떨림 증상이 나타난다’(10.2%) 순이었다.
이같은 후유증은 업무를 볼 때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약간 피곤한 정도’(49.4%),‘업무에서 사소한 실수가 발생되는 정도’(39.9%),‘오전업무가 거의 불가능한 정도’(30.8%) 등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하루 종일 업무가 불가능한 정도’(5.5%),‘오전 반차를 내거나 출근을 못하는 정도’(3.5%)라는 대답도 있었다.‘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답변은 1.7%에 그쳤다.
반면 야근 후유증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5.1%가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약간 피곤한 정도’라고 답했으며 ‘업무에서 사소한 실수가 발생되는 정도’(20.9%),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15.4%),‘오전업무가 거의 불가능한 정도’(7.3%)가 뒤를 이었다.‘하루 종일 업무가 불가능한 정도’(0.9%)와 ‘오전 반차를 내거나 출근을 못하는 정도’(0.4%)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한편 직장인들의 한 주당 술자리 횟수는 2.2회,야근횟수는 2.3회였으며 1회당 지속 시간은 술자리가 3시간40분, 야근이 3시간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술자리를 많이 갖는 요일(복수응답)은 ‘금요일’(69.4%)이 압도적이었고 야근은 ‘화요일’(63.7%)과 ‘목요일’(60.1%)에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10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술자리 후유증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력(최대 5점)은 평균 2.3점으로 야근 후유증(1.2점)보다 두 배 정도 높았다.
술자리 후유증(복수응답)으로는 ‘아침에 일어나는게 힘들다’(74.2%)는 대답이 가장 많았고 ‘속이 좋지 않다’(61.6%)와 ‘업무집중력이 떨어진다’(55.4%)가 뒤를 이었다.다음으로 ‘업무시간에 졸게 된다’(25.8%),‘목소리가 잠기거나 떨린다’(16.9%),‘회사에 지각한다’(15.1%),‘손떨림 증상이 나타난다’(10.2%) 순이었다.
이같은 후유증은 업무를 볼 때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약간 피곤한 정도’(49.4%),‘업무에서 사소한 실수가 발생되는 정도’(39.9%),‘오전업무가 거의 불가능한 정도’(30.8%) 등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하루 종일 업무가 불가능한 정도’(5.5%),‘오전 반차를 내거나 출근을 못하는 정도’(3.5%)라는 대답도 있었다.‘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답변은 1.7%에 그쳤다.
반면 야근 후유증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5.1%가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약간 피곤한 정도’라고 답했으며 ‘업무에서 사소한 실수가 발생되는 정도’(20.9%),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15.4%),‘오전업무가 거의 불가능한 정도’(7.3%)가 뒤를 이었다.‘하루 종일 업무가 불가능한 정도’(0.9%)와 ‘오전 반차를 내거나 출근을 못하는 정도’(0.4%)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한편 직장인들의 한 주당 술자리 횟수는 2.2회,야근횟수는 2.3회였으며 1회당 지속 시간은 술자리가 3시간40분, 야근이 3시간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술자리를 많이 갖는 요일(복수응답)은 ‘금요일’(69.4%)이 압도적이었고 야근은 ‘화요일’(63.7%)과 ‘목요일’(60.1%)에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