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직 공채 시즌이 한창인 가운데,이직을 희망하는 직장인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하지만 경력자들에게도 이력서 작성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신입 시절에 비해 커리어를 새롭게 쌓은 데다 채용 트렌드도 많이 변했기 때문이다.

신입과 경력사원은 서류전형 평가 기준이 매우 다르므로 경력직 구직자가 이력서를 쓸 때는 신입일 때와 접근 방법부터 달라야 한다. 신입은 학력, 외국어 등의 기본사항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만 경력직은 모집분야에서의 경력과 최근 업무 성과 등을 중시한다.

이력서와 경력기술서는 구체적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해야 한다. 단순 나열식보다는 대표적인 프로젝트 수행 실적과 어려운 일을 완수해낸 과정 등 성공담 위주로 쓰는 것이 좋다. 프로젝트는 어떤 방식으로 운영됐는지,그 안에서 본인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솔직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담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자신의 역할로 인한 매출 증가액,시장점유율 변화 추이 등 수치를 적어주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단, 지원 분야와 관련된 경력은 상세히 기술하되 무관한 내용은 과감히 삭제해야 한다.

포트폴리오를 첨부하는 것도 방법이다. 사업제안서나 기획안, 프로젝트 관련 자료 등을 이용하면 본인의 능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 도움이 된다. 포트폴리오는 한번에 만들기 어려우므로 그때그때 업데이트해 두는 것이 좋다.

아무리 수행 경험이나 경력이 많아도 이를 장황하게 늘어놓는 것은 금물이다. 여러 장에 걸친 화려한 이력서는 오히려 면접관에게 혼란이나 부담을 줄 수 있다. 경력기술서는 2장 분량으로 별도로 만들어 요약하는 것이 가장 좋다.

작성 시 거짓이나 과장을 섞게 되면 결과적으로 감점 요소가 된다. 과다한 업무를 혼자 진행했다고 하거나 아이디어 차원에서 참여한 것을 과대포장해 기술해서도 안 된다. 요즘은 경력직을 채용할 때 평판조회(reference check)를 하기 때문에 거짓이나 과장은 금방 들통나게 마련이며 설사 채용됐다 하더라도 직장생활이 편치 않을 것이다. 요즘은 경력직을 채용할 때 평판조회(reference check)를 하기 때문에 거짓이나 과장은 금방 들통나게 마련이며 설사 채용됐다 하더라도 직장생활이 편치 않을 것이다.

작성 시 거짓이나 과장을 섞게 되면 결과적으로 감점 요소가 된다. 과다한 업무를 혼자 진행했다고 하거나 아이디어 차원에서 참여한 것을 과대포장해 기술해서도 안 된다.

이정우 취업포탈 커리어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