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3일 중국 단둥을 거쳐 오전 9시 40분(한국시간 오전 10시 40분)께 다롄(大連)에 도착했다.

연합뉴스는 이날 특별열차편으로 다롄역에 도착한 김 위원장 일행이 리무진을 포함한 의전차량 20여대 나눠타고 시내 중심가인 푸리화(富麗華)호텔로 들어가는 게 목격됐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에 따르면 이들 의전차량에 앰뷸런스 1대가 동행했으며 푸리화호텔에서 대기하고 있어 눈길을 끌었다.

또 푸리화호텔 앞에서 '평양 15729' 번호판을 단 25인승 중형버스가 대기하는 장면도 포착됐다.

김 위원장의 시내 이동 탓에 다롄시에서는 이날 오전 9시부터 한시간 가량 시내 교통이 통제됐다.

현지 목격자는 "교통 통제의 이유를 묻자 교통경찰이 '김 위원장의 방문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5시20분(한국시각 6시20분)께 전용 특별열차편을 이용해 북.중 접경지역인 중국 단둥(丹東)에 도착한 뒤 단둥 인근도시인 펑청(鳳城)을 거쳐 다롄으로 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다롄 이동 경로와 관련해 특별열차가 아닌 승용차 또는 미니버스 등을 이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날 오전 2시께 북중우의교를 통해 다롄 지역 번호판인 '랴오(遼)B'로 시작하는 미니밴 6대가 신의주에서 단둥으로 들어오는 게 눈에 띄었으며 이어 단둥역 광장에서 아우디 의전차량 7대와 미니버스 1대가 움직이면서 그 앞에 경호차량이 지나는 게 목격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 일행이 단둥 인근에서 의전차량으로 갈아타고 다롄으로 움직였을 것이라는 추론도 내놓고 있다.

실제 단둥-다롄 간 고속도로는 2일 오후 8시부터 통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다롄 일정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북한이 개발 중인 라진항 건설 계획을 비롯한 북.중 경제협력 및 대북 투자문제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다롄이 동북3성의 물류 중심지이고 향후 북한 라진항 개방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곳이라는 점에서 김 위원장은 다롄에서 항만시설 등을 둘러보고 2008년 북한 라진항 1호 부두 독점사용권을 확보해 중국의 '동해 출항권'을 따낸 창리그룹 관계자들을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장의 전체 방중일정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2박3일 또는 3박4일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때문에 김 위원장이 다롄에서 1박을 할지 아니면 곧바로 베이징으로 향할지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경닷컴 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