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버핏 "한국주식, 하나 빼고 다 팔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기업 높이 평가하지만 중국·인도에 더 끌리는 듯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은 2일(현지시간) 개인적으로 보유해오던 20개의 한국 기업 주식 중 1개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처분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각 업종에서 우량 기업이 많은 만큼 언제든지 찾아보면 좋은 종목을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 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거두지는 않았다.
버핏은 이날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시 메리어트호텔에서 벅셔해서웨이 주주총회 행사 일환으로 가진 기자회견에서 "현재 개인 포트폴리오에서 한국 주식은 한 종목만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02~2004년 개인투자 차원에서 헐값(extraordinary cheap)에 한국 주식을 사들였다"며 당시 개인적으로 20개의 한국 주식을 산 데 반해 미국 기업은 1개만 보유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저가 메리트 외에 당시 한국 주식을 산 배경으로 1997~1998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기업들의 재무제표상 문제가 개선된 점을 꼽았다. 하지만 그는 개인 투자 지분을 처분한 구체적인 이유와 보유 중인 종목이 어떤 회사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작년 5월 주총에서는 "개인적으로 2008년에 1개의 한국 종목을 추가했고 벅셔해서웨이도 한국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몇몇 기업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힌 점에 비춰 한국 투자에 적극성을 덜 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전반적인 정황을 감안하면 버핏은 작년 하반기 주가 상승기에 이익을 실현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개인 지분을 정리했지만 버핏은 한국경제의 탄력적인 회복과 업종별로 초우량 기업이 많다는 점을 들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회사를 찾아볼 수 있다는 기본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저렴한 주식은 언제라도 찾을 수 있다"며 "재무구조도 양호하고 사업전망도 밝은 '1등급 기업'을 찾으려는 노력은 보상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례 경영보고서에 따르면 벅셔는 지난해 말 현재 포스코 주식 394만7554주(지분율 5.2%)를 보유하고 있다. 작년 3월에는 포스코가 발행한 7억달러의 해외 채권 중 1억달러어치를 매입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버핏과 함께 답변에 나선 찰리 멍거 부회장은 '포스코 경영과 관련,개선할 점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신일본제철에서 기술을 받아 세운 포스코가 세계 최강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강한 신뢰를 내보였다.
그는 "포스코보다 더 좋은 철강회사를 본 적이 없다"며 "한국이 포스코와 같은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운좋게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포스코 경영과 관련한 변화를 요구할 게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버핏은 전날 인도와 중국 투자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 데 이어 "앞으로 5~10년 새 일본에서 대규모 인수 · 합병(M&A)을 추진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벅셔가 투자한 이스라엘 공구업체인 이스카의 이탄 워다이머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조만간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버핏은 인도와 중국 경제 성장에 주목하며 방문 계획과 함께 투자 가능성을 내비치는 등 이머징시장에 대한 투자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버핏은 전날 주주총회에서 "중국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놀라운 경제권"이라며 "중국이 이런 잠재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특히 인도에 대해서는 내년 3월에 인도를 직접 방문할 예정이라면서 인도에 대한 벅셔의 투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버핏은 이날 한국 방문 계획을 묻는 질문에 "현재로선 없다"고 답했다.
오마하(네브래스카)=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
버핏은 이날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시 메리어트호텔에서 벅셔해서웨이 주주총회 행사 일환으로 가진 기자회견에서 "현재 개인 포트폴리오에서 한국 주식은 한 종목만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02~2004년 개인투자 차원에서 헐값(extraordinary cheap)에 한국 주식을 사들였다"며 당시 개인적으로 20개의 한국 주식을 산 데 반해 미국 기업은 1개만 보유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저가 메리트 외에 당시 한국 주식을 산 배경으로 1997~1998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기업들의 재무제표상 문제가 개선된 점을 꼽았다. 하지만 그는 개인 투자 지분을 처분한 구체적인 이유와 보유 중인 종목이 어떤 회사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작년 5월 주총에서는 "개인적으로 2008년에 1개의 한국 종목을 추가했고 벅셔해서웨이도 한국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몇몇 기업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힌 점에 비춰 한국 투자에 적극성을 덜 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전반적인 정황을 감안하면 버핏은 작년 하반기 주가 상승기에 이익을 실현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개인 지분을 정리했지만 버핏은 한국경제의 탄력적인 회복과 업종별로 초우량 기업이 많다는 점을 들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회사를 찾아볼 수 있다는 기본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저렴한 주식은 언제라도 찾을 수 있다"며 "재무구조도 양호하고 사업전망도 밝은 '1등급 기업'을 찾으려는 노력은 보상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례 경영보고서에 따르면 벅셔는 지난해 말 현재 포스코 주식 394만7554주(지분율 5.2%)를 보유하고 있다. 작년 3월에는 포스코가 발행한 7억달러의 해외 채권 중 1억달러어치를 매입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버핏과 함께 답변에 나선 찰리 멍거 부회장은 '포스코 경영과 관련,개선할 점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신일본제철에서 기술을 받아 세운 포스코가 세계 최강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강한 신뢰를 내보였다.
그는 "포스코보다 더 좋은 철강회사를 본 적이 없다"며 "한국이 포스코와 같은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운좋게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포스코 경영과 관련한 변화를 요구할 게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버핏은 전날 인도와 중국 투자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 데 이어 "앞으로 5~10년 새 일본에서 대규모 인수 · 합병(M&A)을 추진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벅셔가 투자한 이스라엘 공구업체인 이스카의 이탄 워다이머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조만간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버핏은 인도와 중국 경제 성장에 주목하며 방문 계획과 함께 투자 가능성을 내비치는 등 이머징시장에 대한 투자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버핏은 전날 주주총회에서 "중국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놀라운 경제권"이라며 "중국이 이런 잠재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특히 인도에 대해서는 내년 3월에 인도를 직접 방문할 예정이라면서 인도에 대한 벅셔의 투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버핏은 이날 한국 방문 계획을 묻는 질문에 "현재로선 없다"고 답했다.
오마하(네브래스카)=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