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이동통신 3사가 모두 초당요금제 도입을 확정했지만 마케팅비 제한 합의는 늦어지고 있습니다. 방통위에서는 합의가 안될 경우 여러가지 조치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김의태 기자입니다. 당초 지난달 말까지 발표될 것으로 보였던 통신사 마케팅비 제한 가이드라인 합의가 답보상태에 빠졌습니다. KT가 주장을 굽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무선 통합 매출을 기준으로 하고 스마트폰 보조금은 마케팅비 제한에서 제외하자는 입장을 고수중입니다. 지난 30일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도 "마케팅 상한규제가 특정 사업자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하게 작용하면 안된다"고 밝혀 의견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최근에는 한발 물러서 매출의 일정 비율이 아닌 7천억이든 8천억이든 금액을 정해, 이 비용 내에서는 자유롭게 마케팅을 하자는 방안을 KT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K텔레콤, 통합LG텔레콤은 물론 이같은 KT의 제안에 대해서도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방통위는 조만간 1분기 실적 발표치를 근거로 유, 무선 마케팅비용을 산정해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마케팅비 지출 동향을 점검하고 2분기 시행시점에 맞춰 보다 정확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것입니다. 여기다 1분기 마케팅 비용을 공개해 마케팅비 제한 합의를 조속히 이끌어 내기 위한 것으로도 파악됩니다. 방통위관계자는 "통신사간 합의가 안됐을시 조치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해 어떤 식으로든 압력행사가 이뤄질 수 있음을 드러냈습니다. 실제로 KT의 1분기 무선부문 마케팅 비용은 서비스매출의 30% 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올해 제한 가이드라인 22%를 훌쩍 넘은 수치입니다. SK텔레콤도 비슷한 수준이지만 KT의 경우 아이폰에 들어간 보조금만 수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돼 세세한 항목이 발표될 경우 부담이 적지 않을 것이란 분석입니다. 방통위가 적어도 이달중 마케팅 가이드라인 합의를 이끌어 낸다는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는 가운데 KT가 초당요금제 전격 도입에 이어 어떤 해법을 찾을지 주목됩니다. WOW-TV NEWS 김의태입니다. 김의태기자 wowm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