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의 여인'으로 통하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여기저기서 선거 지원요청이 쇄도하고 있어서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6일 박 전 대표의 6 · 2 지방선거 지원 여부에 대해 "어려운 지역에서 박 전 대표에게 호소하지 않겠느냐"며 "그런 지역에서 (박 전 대표가 지원에) 나서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박 전 대표가 7일 자신의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수 후보 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하면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경쟁이 치열한 수도권 광역단체장이나 인연이 있는 후보들을 중심으로 '선별적 지원'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박 전 대표 측은 이번 선거는 "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치르는 것이 맞다"고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친박 일부에서는 여권 주류 측이 세종시와 개헌 문제 등에서 일정 부분 양보 의사를 밝히고 신뢰를 보여준다면 지원 유세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라는 전망도 나온다.

박 전 대표의 지원유세 여부는 단순히 '당원의 임무' 차원을 떠나 향후 정치적 파장을 몰고올 수 있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박 전 대표가 지원유세에 나서 한나라당이 승리할 경우 박 전 대표는 '선거의 여인'이라는 점을 거듭 확인하며 차기 주자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대세론 확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선거 지원에도 불구하고 선거에 패할 경우 박 전 대표는 향후 대권 가도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선거책임론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게 될 것이다.

위험이 크다고 이번 선거를 마냥 외면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박 전 대표가 선거에 개입하지 않고 여권주류가 선거를 승리로 이끈다면 세종시,개헌 문제 등 박 전 대표와의 갈등이 불가피한 문제에 대해 강공모드로 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울러 박 전 대표의 지원 없이 선거에 패할 경우 여권 주류를 중심으로 '박근혜 책임론'이 등장할 개연성이 크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