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펀드 시장에는 9000여개의 펀드가 있다. 이렇게 많은 펀드 중에서 자신의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는 펀드를 고르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펀드평가사의 대표로서 어떤 펀드가 좋은 펀드인지 가려낼 수 있는 몇 가지 기준을 소개한다.

첫째는 운용 기간이 길고,운용 규모가 큰 펀드가 좋은 펀드다. 운용 기간이 길수록 펀드의 투자 스타일이 명확하고 펀드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펀드 설정액이 일정 규모 이상이어야 대량 환매 때도 펀드 본래의 운용전략을 추구할 수 있다. 운용 규모가 크다는 것은 투자자들이 많이 찾는,실적이 우수한 펀드라는 증거다. 최소 3년 이상 운용 중이고 설정액이 1000억원 이상인 펀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둘째로 안정적인 성과를 달성하는 펀드를 골라야 한다. 작년에 수익률 최상위권을 기록한 펀드가 올해 최하위권에 머무르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펀드평가사에서 제공하는 샤프,젠센알파,베타,IR(Information Ratio) 등 위험지표를 통해 안정적인 성과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셋째는 보수가 낮은 펀드가 좋다. 펀드 보수는 투자자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보수는 자금을 운용하는 대가로 펀드가 수익을 내지 않더라도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다. 그중에서도 투자자가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 운용보수와 판매보수다. 유사한 운용전략을 추구하는 펀드라고 해도 운용사와 판매사에 따라 보수가 천차만별이다. 투자자는 자신의 펀드가 더 높은 보수를 지불하고 있다면 유사 전략 펀드와 꼼꼼히 비교해 보수가 합리적인 수준인지 따져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운용 스타일이 명확하고 일관적인 펀드가 좋은 펀드다. 펀드는 간접투자 기구로 투자자의 자금을 대신 운용하는 상품이다. 만약 투자자가 가치주에 투자하고 싶은데 펀드의 투자설명서에 일정 비율 이상 투자하겠다고 명시가 안돼 있거나 가치주 펀드임에도 실제로는 성장주에 투자하고 있다면 투자자의 투자 의도에서 벗어나기 때문이다.

위에서 말한 4가지는 펀드 상품을 선택할 때 도움이 될 만한 기준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 목적과 자기 성향에 맞는 펀드군을 찾는 것이다. 가령 결혼자금으로 투자하는 경우 파생상품 펀드와 같이 손실 위험이 큰 펀드 유형은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맞는 펀드 유형을 정하고 위의 기준에 따라 펀드를 선택한다면 성공적인 펀드 투자에 좀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신동승 KBP펀드평가 대표 dsshin@kbpfun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