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증시, 중국發 긴축 우려에 하락 반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시아 주요 증시가 일제히 하락 반전했다. 이는 중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008년 10월 이후 18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 정부가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긴축 우려가 다시 불거졌기 때문이다.
11일 오후 3시44분 현재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 보다 43.66포인트(1.62%) 내린 2655.10으로 거래중이다. 홍콩 항셍지수는 1.43% 하락한 20135.36을 기록 중이며, 대만 가권지수는 0.73% 떨어진 7608.44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 닛케이지수와 한국 코스피지수는 각각 1.14%, 0.44% 하락 마감했다.
중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기 대비 2.8%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인 2.7%를 소폭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6.8% 급등, 3월 5.9%에 비해 상승폭이 커졌다.
중국의 4월 산업생산은 전년동기 대비 17.8% 증가했으나 예상치(18.5%)는 밑돌았으며, 지난달 소매판매는 18.5% 증가했다.
신규대출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중국 은행들의 신규대출은 7740억위안(1130억달러)으로 예상치인 5850억위안을 크게 웃돌았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정책에도 지난달 70개 도시의 부동산 가격은 전달 대비 12.8% 상승, 2005년 월간으로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박매화 한화증권 연구원은 "소비자물가지수가 시장 컨센서스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정부가 긴축 정책에 돌입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며 지수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이슈가 부동산 가격인 만큼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점도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허재환 대우증권 연구원은 "6월 이후 CPI가 3%를 웃돌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금리 인상에 대한 압박 수위가 높아졌다"며 "그러나 최근 유럽발 리스크로 인해 금리 인상 시점은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다.
허 연구원은 "지난달 부동산 가격 상승은 부동산 규제 정책이 반영되기 직전 데이타가 집계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최근 일별 데이터로 집계되는 부동산 판매와 가격은 주춤하지만 하반기에는 부동산 가격 조정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
11일 오후 3시44분 현재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 보다 43.66포인트(1.62%) 내린 2655.10으로 거래중이다. 홍콩 항셍지수는 1.43% 하락한 20135.36을 기록 중이며, 대만 가권지수는 0.73% 떨어진 7608.44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 닛케이지수와 한국 코스피지수는 각각 1.14%, 0.44% 하락 마감했다.
중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기 대비 2.8%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인 2.7%를 소폭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6.8% 급등, 3월 5.9%에 비해 상승폭이 커졌다.
중국의 4월 산업생산은 전년동기 대비 17.8% 증가했으나 예상치(18.5%)는 밑돌았으며, 지난달 소매판매는 18.5% 증가했다.
신규대출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중국 은행들의 신규대출은 7740억위안(1130억달러)으로 예상치인 5850억위안을 크게 웃돌았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정책에도 지난달 70개 도시의 부동산 가격은 전달 대비 12.8% 상승, 2005년 월간으로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박매화 한화증권 연구원은 "소비자물가지수가 시장 컨센서스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정부가 긴축 정책에 돌입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며 지수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이슈가 부동산 가격인 만큼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점도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허재환 대우증권 연구원은 "6월 이후 CPI가 3%를 웃돌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금리 인상에 대한 압박 수위가 높아졌다"며 "그러나 최근 유럽발 리스크로 인해 금리 인상 시점은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다.
허 연구원은 "지난달 부동산 가격 상승은 부동산 규제 정책이 반영되기 직전 데이타가 집계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최근 일별 데이터로 집계되는 부동산 판매와 가격은 주춤하지만 하반기에는 부동산 가격 조정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