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융합 반응 성공"…정부 "터무니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소폭탄 원천기술…진위 주목
북한이 핵융합 기술을 자체 개발했다고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이 12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노동신문은 이날 1면 기사에서 "조선(북한)의 과학자들이 핵융합 반응을 성공시키는 자랑찬 성과를 이룩했다"며 "과학자들은 수많은 과학기술적 문제들을 100% 자체 힘으로 해결함으로써 마침내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또 "원천이 무진장하고 환경 피해가 거의 없는 안전한 새 에네르기(에너지)를 얻기 위한 핵융합 기술은 오늘 세계 과학계의 커다란 관심을 모으고 있다"며 "핵융합에 성공함으로써 새 에네르기 개발을 위한 돌파구가 확고하게 열렸다"고 자평했다.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방식의 핵무기보다 훨씬 강력한 수소폭탄 제조의 원천기술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위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이 핵 기술을 앞세워 한 · 미 양국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 정부와 국내 핵 전문가들은 북한의 주장에 즉각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핵융합 발전을 위해서는 상당한 고가의 시설이 필요한데 이런 시설이 북한에 있다고 보고됐거나 감지된 게 없다"며 "비밀리에 이런 시설을 만들기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터무니없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핵융합 발전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산하의 이터(핵융합실험로)라는 국제기구에서 미국, 유럽연합(EU), 러시아,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등 전 세계 최고의 기술국가들이 모여 추진 중인 사안"이라며 "실험에 필요한 시설 건설에만 51억유로(약 7조3000여억원)가 소요되고 실험 성공 자체도 50년 후에나 가능할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핵 전문가들도 부정적이다. 핵융합이 일어나려면 매우 높은 고온고압 환경이 조성돼야 하는데 북한이 지금까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방식의 핵폭탄이 터질 때 만들어진 고온고압에 의해 수소 원자를 융합하는 방식만 성공했고,핵폭발의 고온고압에 견디기 어려운 실험실에서 핵융합 반응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는 것이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노동신문은 이날 1면 기사에서 "조선(북한)의 과학자들이 핵융합 반응을 성공시키는 자랑찬 성과를 이룩했다"며 "과학자들은 수많은 과학기술적 문제들을 100% 자체 힘으로 해결함으로써 마침내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또 "원천이 무진장하고 환경 피해가 거의 없는 안전한 새 에네르기(에너지)를 얻기 위한 핵융합 기술은 오늘 세계 과학계의 커다란 관심을 모으고 있다"며 "핵융합에 성공함으로써 새 에네르기 개발을 위한 돌파구가 확고하게 열렸다"고 자평했다.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방식의 핵무기보다 훨씬 강력한 수소폭탄 제조의 원천기술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위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이 핵 기술을 앞세워 한 · 미 양국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 정부와 국내 핵 전문가들은 북한의 주장에 즉각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핵융합 발전을 위해서는 상당한 고가의 시설이 필요한데 이런 시설이 북한에 있다고 보고됐거나 감지된 게 없다"며 "비밀리에 이런 시설을 만들기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터무니없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핵융합 발전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산하의 이터(핵융합실험로)라는 국제기구에서 미국, 유럽연합(EU), 러시아,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등 전 세계 최고의 기술국가들이 모여 추진 중인 사안"이라며 "실험에 필요한 시설 건설에만 51억유로(약 7조3000여억원)가 소요되고 실험 성공 자체도 50년 후에나 가능할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핵 전문가들도 부정적이다. 핵융합이 일어나려면 매우 높은 고온고압 환경이 조성돼야 하는데 북한이 지금까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방식의 핵폭탄이 터질 때 만들어진 고온고압에 의해 수소 원자를 융합하는 방식만 성공했고,핵폭발의 고온고압에 견디기 어려운 실험실에서 핵융합 반응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는 것이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