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 뚫린 金값…파리 날리는 종로 3가 도매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전자산 '금'값 사상 최고치
3.75kg 도매가격 18만 5680원
3.75kg 도매가격 18만 5680원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다. 유럽연합(EU)의 그리스 재정위기 해소책에도 불구하고 시장 불안이 가시지 않으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몰린 데 따른 것이다. 국내 금 도매시장엔 수요자들의 발길이 뚝 끊어졌다.
◆안전자산 '금'값 사상 최고치
11일(현지시간) 런던금시장협회(LBMA)가 고시한 금 가격은 전날보다 26달러(2.17%) 오른 온스당 1222.5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12월2일의 사상 최고치(1212.5달러)를 뛰어넘는 것이다. 같은 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6월물 금 선물 가격도 온스당 19.5달러(1.6%) 올라 1220.3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즉시 인도분' 가격은 온스당 1230달러까지 치솟았다.
국제 금값이 급등한 것은 EU의 1조달러 규모 유로존 구제금융 지원 계획에도 불구하고 유럽 경제침체로 유로화 가치가 더 떨어지고 인플레이션이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된 데 따른 현상이다. 재정적자가 심각한 주요 선진국도 유럽과 같은 길을 걷게 될 것이란 인식이 퍼지면서 금이 대체 투자수단으로 떠올랐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인베스터스의 프랭크 홈스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CNBC 방송에서 "금값이 앞으로 5년 내에 온스당 23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 금 투자 매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일부 발빠른 국가들도 금을 사들이고 있다. 인도는 작년 10월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금을 매입했다. 러시아도 외환보유액의 5%를 금에 투자하고 있다.
원자재 분석회사인 코리아PDS의 문용주 연구위원은 "미국 등 주요국 기업들의 이익이나 경제지표는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재정위기로 인한 불안요소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여 당분간 안전자산의 금값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값 급등에 국내 거래 '뚝'
금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으면서 서울 종로3가 등 주요 금 도매시장엔 손님들의 발길이 끊겼다. 국내 도매가격의 기준이 되는 LBMA 시세가 전날 급등한 데다 이날 아침부터 북한이 자체 핵융합기술을 만들었다는 소식 등으로 원 · 달러 환율까지 1140원대로 오르면서 금 3.75g(한 돈) 도매가격(삼성귀금속선물거래소 · 24K 순금 기준)은 전날 18만1500원(부가가치세 포함)에서 이날 18만5680원으로 뛰었다.
정진수 삼화금은 사장은 "최근 금값이 계속 오르면서 반도체 제조업체나 용접,도금업체 등 공업용으로 반드시 필요한 곳 외에는 찾아오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소매상 등 금 수요가 급하지 않은 곳은 환율과 금값이 안정되는 시점을 기다리고 있다는 얘기다.
박치영 삼성귀금속현물거래소 회장은 "국제값 상승이 이어지면 국내 소비는 당연히 줄어든다"며 "2~3년 전 금값이 급등하기 전에 비해 매출이나 이익이 20~30%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일부 도매상의 경우 산업용과 공업용 수요는 꾸준하고 도금한 고급제품에 대한 수요도 소폭 늘고 있지만,소매상은 타격이 크다는 설명이다. 금 3.75g이 15만~20만원까지 뛰면서 가장 큰 소매수요인 '돌 반지'가 4~5년 전부터 현금으로 대체되기 시작한 데 따른 것이다.
전국 1만여개의 귀금속 소매업소를 회원으로 가진 한국귀금속판매업중앙회 관계자는 "통상 돌잔치를 하면 반지를 20개가량 받았는데 최근에는 10개 미만으로 집계되고 있다"며 "회원들이 장사가 안돼 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