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놓치면 1년 굶는다"…재개발·재건축 수주 전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월부터 공공관리제 시행, 시공사 선정 1년이상 공백
'경쟁사텃밭노터치' 불문율 깨져
'경쟁사텃밭노터치' 불문율 깨져
건설사들이 재건축 · 재개발 사업 수주를 위해 전면전을 벌이고 있다. 다른 건설사들이 미리 공을 들인 사업을 암묵적으로 인정해주던 관행은 자취를 감췄다. 조합원들의 관심을 얻기 위해 무상지분율(조합원들이 돈을 내지 않고 받을 수 있는 새 아파트 면적 비율)을 높이는 출혈경쟁까지 벌이고 있다. 주택시장 침체로 신규주택 분양이 어려워지자 일감 확보 차원에서 사운을 걸고 재개발 · 재건축 물량 수주에 나서는 모습이다.
◆텃밭은 없다
1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시공사 선정 절차를 밟고 있는 서울 강동구 고덕주공2단지 조합은 컨소시엄으로 입찰에 참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는 '단독입찰' 방식을 최종 확정했다. 이에 따라 2002년부터 8년간 이 단지 공사수주를 위해 보조를 맞춰온 삼성물산과 GS건설은 '동지'에서 '적'으로 바뀌어 경쟁을 벌이게 됐다. 한 건설사는 무상지분율을 기존 137%에서 143%로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우건설 등 재건축 · 재개발 후발 건설사들도 고덕주공2단지 참여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A건설 관계자는 "다른 건설사가 한번 선점한 곳은 건드리지 않는 것이 대형 건설사들 간의 불문율이었다"며 "2단지를 빼앗기 위해 다른 업체가 들어온다면 삼성 · GS도 다른 건설사가 공들여 놓은 단지에 뛰어들면서 무한경쟁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는 15일 시공사를 선정하는 고덕주공 6단지 조합에는 강남권 신규진입을 노리는 건설사들이 높은 무상지분율을 앞세워 경쟁을 벌이고 있다. 두산건설 대우건설 등은 선발업체들보다 최고 37%포인트나 높은 174%의 무상지분율을 제시하며 조합원 표심잡기에 나섰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2000년 이후 삼성물산 GS건설 대림산업 현대산업개발 등이 주로 수주했지만 최근 현대건설 대우건설 두산건설 포스코건설 등이 진입 발판 마련을 위해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D건설 관계자는 "올해 최대 수주 물량인 강동구 둔촌주공(6000채) 수주전엔 강남권 진입 발판을 마련하려는 현대건설이 전력투구하는 양상"이라며 "현대건설컨소시엄과 삼성물산컨소시엄 간 격전이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합 "경쟁을 시켜야 이득"
건설사들의 수주전에 기름을 붓는 다른 요인은 7월부터 시행되는 공공관리제다. 공공관리제 시행 이후에는 시공사 선정시기가 사업시행인가 이후로 늦어지기 때문에 적어도 1년 이상 서울에선 재건축 · 재개발 수주가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강동권 재건축 단지뿐만 아니라 은평구 증산2구역, 은평구 응암1 · 3구역 ,노원구 상계6구역, 노원구 월계4구역 ,서대문구 홍은2구역 등 강북 재개발구역에서도 치열한 수주전이 전개되고 있다.
조합원들은 더 많은 개발이익을 겨냥해 건설사들의 수주전을 유도하고 있다. 고덕주공 7단지 등은 조합원에게 일정한 수익을 보장하겠다고 확실하게 약속하는 시공사 계약방식인 '확정지분제'를 요구하고 있다.
S건설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중간에 컨소시엄을 짜거나 다른 건설사들의 입찰참여를 막는 방식으로 경쟁을 피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조합원들이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경쟁을 유도하고 있어 이런 식의 꼼수가 통하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수주전이 격화되면서 부작용도 드러나고 있다. 서울 노원구 상계6구역 시공사 선정 총회에선 건설사들이 조합원의 총회 참석을 독려하기 위해 경품을 뿌리려다 법원의 제지를 받았다.
또 강동구 고덕주공 5 · 6 · 7단지 등에선 건설사들이 법을 어기고 공식 수주전이 시작되기 전부터 조합원들을 접촉해 문제가 되고 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
◆텃밭은 없다
1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시공사 선정 절차를 밟고 있는 서울 강동구 고덕주공2단지 조합은 컨소시엄으로 입찰에 참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는 '단독입찰' 방식을 최종 확정했다. 이에 따라 2002년부터 8년간 이 단지 공사수주를 위해 보조를 맞춰온 삼성물산과 GS건설은 '동지'에서 '적'으로 바뀌어 경쟁을 벌이게 됐다. 한 건설사는 무상지분율을 기존 137%에서 143%로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우건설 등 재건축 · 재개발 후발 건설사들도 고덕주공2단지 참여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A건설 관계자는 "다른 건설사가 한번 선점한 곳은 건드리지 않는 것이 대형 건설사들 간의 불문율이었다"며 "2단지를 빼앗기 위해 다른 업체가 들어온다면 삼성 · GS도 다른 건설사가 공들여 놓은 단지에 뛰어들면서 무한경쟁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는 15일 시공사를 선정하는 고덕주공 6단지 조합에는 강남권 신규진입을 노리는 건설사들이 높은 무상지분율을 앞세워 경쟁을 벌이고 있다. 두산건설 대우건설 등은 선발업체들보다 최고 37%포인트나 높은 174%의 무상지분율을 제시하며 조합원 표심잡기에 나섰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2000년 이후 삼성물산 GS건설 대림산업 현대산업개발 등이 주로 수주했지만 최근 현대건설 대우건설 두산건설 포스코건설 등이 진입 발판 마련을 위해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D건설 관계자는 "올해 최대 수주 물량인 강동구 둔촌주공(6000채) 수주전엔 강남권 진입 발판을 마련하려는 현대건설이 전력투구하는 양상"이라며 "현대건설컨소시엄과 삼성물산컨소시엄 간 격전이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합 "경쟁을 시켜야 이득"
건설사들의 수주전에 기름을 붓는 다른 요인은 7월부터 시행되는 공공관리제다. 공공관리제 시행 이후에는 시공사 선정시기가 사업시행인가 이후로 늦어지기 때문에 적어도 1년 이상 서울에선 재건축 · 재개발 수주가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강동권 재건축 단지뿐만 아니라 은평구 증산2구역, 은평구 응암1 · 3구역 ,노원구 상계6구역, 노원구 월계4구역 ,서대문구 홍은2구역 등 강북 재개발구역에서도 치열한 수주전이 전개되고 있다.
조합원들은 더 많은 개발이익을 겨냥해 건설사들의 수주전을 유도하고 있다. 고덕주공 7단지 등은 조합원에게 일정한 수익을 보장하겠다고 확실하게 약속하는 시공사 계약방식인 '확정지분제'를 요구하고 있다.
S건설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중간에 컨소시엄을 짜거나 다른 건설사들의 입찰참여를 막는 방식으로 경쟁을 피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조합원들이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경쟁을 유도하고 있어 이런 식의 꼼수가 통하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수주전이 격화되면서 부작용도 드러나고 있다. 서울 노원구 상계6구역 시공사 선정 총회에선 건설사들이 조합원의 총회 참석을 독려하기 위해 경품을 뿌리려다 법원의 제지를 받았다.
또 강동구 고덕주공 5 · 6 · 7단지 등에선 건설사들이 법을 어기고 공식 수주전이 시작되기 전부터 조합원들을 접촉해 문제가 되고 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