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명 중 1명,“나는 야식 중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직장인 5명 중 1명은 밤마다 야식의 유혹을 참지 못하는 ‘야식 중독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330명을 대상으로 ‘야식 중독 여부’에 대해서 물어본 결과 22.3%가 ‘야식 중독’이라고 답했다.이들은 한 달 평균 15일 야식을 먹었으며 ‘매일 먹는다’는 응답자도 18.9%나 됐다.중독이 아니라는 응답자들은 한 달 평균 6일 정도 야식을 먹는 것으로 나타나 2.5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야식을 먹는 이유로는 ‘저녁에는 식욕을 억제하기 어려워서’가 45.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다음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38.7%) △‘불규칙한 생활방식 때문에’(30.6%) △‘야근 때문에’(23.9%) △‘저녁 약속이 많아서’(17.5%) 등이 뒤를 이었다.즐겨먹는 야식 메뉴로는 △‘치킨, 튀김류’(47.5%,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이어 △‘김밥,떡볶이,라면 등 분식’(44.4%) △‘빵, 과자’(30.6%) △‘족발, 보쌈’(23.6%) △‘과일’(16.8%) △‘기타’(16.2%) △‘아이스크림’(15.8%)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14.1%) 순이었다.
야식을 먹는 시간대는 주로 ‘밤 11시’(32.7%)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어 △‘10시’(27.9%),△‘9시’(26.6%),△‘12시’(9.8%),△‘새벽 1시 이후’(3%) 순이었다.그렇다면 야식으로 인해 후유증을 겪는 직장인들은 얼마나 될까? 야식 중독 직장인 중 83.8%가 야식으로 인한 후유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후유증 1위는 ‘비만,과식,체중증가’(80.7%, 복수응답)였다.이어 △‘소화장애’(58.6%) △‘만성피로’(28.9%) △‘수면장애,불면증’(27.7%) △‘업무능력 저하 및 무기력증’(17.7%) △‘각종 질환(지방간,위장장애 등)’(14.5%) 등이 있었다.
현재 야식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직장인은 59.4%였고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여성(87.7%)이 남성(79.6%)보다 더 많이 노력하고 있었다.하고 있는 노력으로는 △‘규칙적인 식사 습관 만들기’(49.3%,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이밖에 △‘다이어트하기’(44.6%) △‘산책 등 운동하기’(36.5%) △‘물 등으로 포만감 주기’(35.1%) △‘일찍 잠자리에 들기’(27.7%) △‘야채 등 저칼로리로 바꾸기’(16.2%) 등의 의견이 있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330명을 대상으로 ‘야식 중독 여부’에 대해서 물어본 결과 22.3%가 ‘야식 중독’이라고 답했다.이들은 한 달 평균 15일 야식을 먹었으며 ‘매일 먹는다’는 응답자도 18.9%나 됐다.중독이 아니라는 응답자들은 한 달 평균 6일 정도 야식을 먹는 것으로 나타나 2.5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야식을 먹는 이유로는 ‘저녁에는 식욕을 억제하기 어려워서’가 45.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다음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38.7%) △‘불규칙한 생활방식 때문에’(30.6%) △‘야근 때문에’(23.9%) △‘저녁 약속이 많아서’(17.5%) 등이 뒤를 이었다.즐겨먹는 야식 메뉴로는 △‘치킨, 튀김류’(47.5%,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이어 △‘김밥,떡볶이,라면 등 분식’(44.4%) △‘빵, 과자’(30.6%) △‘족발, 보쌈’(23.6%) △‘과일’(16.8%) △‘기타’(16.2%) △‘아이스크림’(15.8%)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14.1%) 순이었다.
야식을 먹는 시간대는 주로 ‘밤 11시’(32.7%)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어 △‘10시’(27.9%),△‘9시’(26.6%),△‘12시’(9.8%),△‘새벽 1시 이후’(3%) 순이었다.그렇다면 야식으로 인해 후유증을 겪는 직장인들은 얼마나 될까? 야식 중독 직장인 중 83.8%가 야식으로 인한 후유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후유증 1위는 ‘비만,과식,체중증가’(80.7%, 복수응답)였다.이어 △‘소화장애’(58.6%) △‘만성피로’(28.9%) △‘수면장애,불면증’(27.7%) △‘업무능력 저하 및 무기력증’(17.7%) △‘각종 질환(지방간,위장장애 등)’(14.5%) 등이 있었다.
현재 야식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직장인은 59.4%였고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여성(87.7%)이 남성(79.6%)보다 더 많이 노력하고 있었다.하고 있는 노력으로는 △‘규칙적인 식사 습관 만들기’(49.3%,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이밖에 △‘다이어트하기’(44.6%) △‘산책 등 운동하기’(36.5%) △‘물 등으로 포만감 주기’(35.1%) △‘일찍 잠자리에 들기’(27.7%) △‘야채 등 저칼로리로 바꾸기’(16.2%) 등의 의견이 있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