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재건축 실거래가 최고 1억8천만원 하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토부, 4월 주택 실거래가 발표
거래건수·가격 동반하락…호가와의 격차도 갈수록 커져
거래건수·가격 동반하락…호가와의 격차도 갈수록 커져
주택시장 침체로 아파트 거래부진이 심화되면서 실거래가격 하락세도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실거래가는 전 달보다 최고 1억8000만원 빠지고,거래량도 작년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거래가격 하락폭이 커지면서 호가 중심의 시세와 격차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 하락폭 커져
18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4월 아파트 실거래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실거래가는 1억~1억8000만원씩 떨어지며 낙폭이 더 커진 것으로 집계됐다. 3월 신고분 실거래가 내림폭은 최고 7000만원이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77㎡형(전용면적)은 지난달 9억2000만원에 거래되며 이전 달보다 최고 9900만원 낮아졌다.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 51㎡형도 전 달 9억7000만~11억3000만원에 팔렸으나 4월 신고분에선 9억5000만원으로 최고 1억8000만원 빠졌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77㎡형은 이전 달 11억6200만~12억1000만원에서 11억원에 거래됐다. 가락시영1단지 41㎡도 4억9000만~5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3000만~3400만원 떨어졌다.
강북이나 수도권 신도시도 가격 하락세를 비껴가지 못했다. 노원구 중계동 주공7단지 45㎡는 한 달 새 1000만원 내렸고,창동 주공4단지 50㎡형은 1억8900만원으로 3400만원 떨어졌다. 하락률로만 보면 18%로 강남지역보다 훨씬 크다.
한편 4월 신고분 전국 아파트 실거래 건수도 4만3975건으로 전 달보다 2499건(5.4%) 감소했다. 수도권이 1만1909건으로 전 달 대비 2384건(16.7%) 줄어 전국 실거래 건수 감소폭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사철과 방학시즌이 지난 계절적 여파로 거래가 줄었다는 게 국토부의 분석이다.
◆호가와 실거래가 갈수록 벌어져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마을부영7차 51㎡형(이하 전용면적) 2채의 경우 지난달 1억1000만원(6층)과 1억2600만원(8층)에 각각 거래됐다. 하지만 부동산정보업체들이 집계한 당시 호가는 1억3500만~1억6000만원으로 최고 호가가 실거래 가격보다 45%나 높았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샛별마을라이프 85㎡도 지난달 호가 최고가는 6억원인데,신고된 실거래가는 4억7500만원으로 26%나 차이가 났다.
이 같은 격차는 서울 강북권도 마찬가지다. 일부 아파트는 정보업체의 최저 호가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도봉구 창동주공4단지 50㎡형의 호가는 2억1500만~2억4500만원이다. 하지만 지난달 거래된 가격은 1억8900만원이었다. 노원구 중계주공7단지 45㎡ 역시 최저 호가(1억9000만원)보다 적은 1억8300만원에 실거래됐다.
이 같은 현상은 주택거래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일반 부동산 시세의 경우 매도자가 부르는 호가에 의해 매겨지고 있기때문이다.
김재후/장규호 기자 hu@hankyung.com
18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4월 아파트 실거래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실거래가는 1억~1억8000만원씩 떨어지며 낙폭이 더 커진 것으로 집계됐다. 3월 신고분 실거래가 내림폭은 최고 7000만원이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77㎡형(전용면적)은 지난달 9억2000만원에 거래되며 이전 달보다 최고 9900만원 낮아졌다.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 51㎡형도 전 달 9억7000만~11억3000만원에 팔렸으나 4월 신고분에선 9억5000만원으로 최고 1억8000만원 빠졌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77㎡형은 이전 달 11억6200만~12억1000만원에서 11억원에 거래됐다. 가락시영1단지 41㎡도 4억9000만~5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3000만~3400만원 떨어졌다.
강북이나 수도권 신도시도 가격 하락세를 비껴가지 못했다. 노원구 중계동 주공7단지 45㎡는 한 달 새 1000만원 내렸고,창동 주공4단지 50㎡형은 1억8900만원으로 3400만원 떨어졌다. 하락률로만 보면 18%로 강남지역보다 훨씬 크다.
한편 4월 신고분 전국 아파트 실거래 건수도 4만3975건으로 전 달보다 2499건(5.4%) 감소했다. 수도권이 1만1909건으로 전 달 대비 2384건(16.7%) 줄어 전국 실거래 건수 감소폭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사철과 방학시즌이 지난 계절적 여파로 거래가 줄었다는 게 국토부의 분석이다.
◆호가와 실거래가 갈수록 벌어져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마을부영7차 51㎡형(이하 전용면적) 2채의 경우 지난달 1억1000만원(6층)과 1억2600만원(8층)에 각각 거래됐다. 하지만 부동산정보업체들이 집계한 당시 호가는 1억3500만~1억6000만원으로 최고 호가가 실거래 가격보다 45%나 높았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샛별마을라이프 85㎡도 지난달 호가 최고가는 6억원인데,신고된 실거래가는 4억7500만원으로 26%나 차이가 났다.
이 같은 격차는 서울 강북권도 마찬가지다. 일부 아파트는 정보업체의 최저 호가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도봉구 창동주공4단지 50㎡형의 호가는 2억1500만~2억4500만원이다. 하지만 지난달 거래된 가격은 1억8900만원이었다. 노원구 중계주공7단지 45㎡ 역시 최저 호가(1억9000만원)보다 적은 1억8300만원에 실거래됐다.
이 같은 현상은 주택거래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일반 부동산 시세의 경우 매도자가 부르는 호가에 의해 매겨지고 있기때문이다.
김재후/장규호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