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자에 허덕이던 지방공항,부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만성적자에 허덕이던 지방공항이 살아나나?
국토해양부는 올 들어 지난 4월까지의 국내 항공 여객은 1272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4%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국제선 여객은 224만명으로 20.4%나 늘었다.또 지난 4월 한달 동안의 국내 항공 여객은 379만4000명으로,지난 2년간 성수기 실적(지난해 8월 377만3000명)을 뛰어넘었다.
특히 KTX와 고속도로 등 대체 교통수단의 확대로 침체에 빠져 있던 청주,무안,양양 등 일부 지방공항의 이용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청주공항의 국내선 여객은 올들어 작년보다 27.7%,국제선 여객은 75.3% 급증했다.청주공항에서는 현재 제주 노선으로 주 76회,베이징 노선으로 주 2회의 정기편과 전세편이 운항되고 있다.6월에는 대한항공이 청주~오사카 노선 운항을 계획하고 있다.무안공항에서는 베이징과 상하이 노선으로 각각 주 2회의 정기편과 전세편이 운항되고 있다.이 공항도 국내선 여객은 18.2%,국제선은 27.0% 증가했다.
19인승 이하 에어택시가 취항 중인 양양공항에는 기존의 코리아익스프레스 외에 이스트아시아에어가 내달 중 취항할 예정이다.또 18일부터는 중국 동방항공이 양양공항으로 주 4회,총 156편의 전세기 운항을 시작할 계획이다.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던 지방공항의 최근 부활 움직임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덕택이다.무엇보다 국제선 운수권을 배정할 때 지방공항 취항실적에 대한 배점을 대폭 높인게 주효했다.국제선 취항 기준을 폐지하는 등 항공산업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들도 신규 국제선 노선에 비행기를 띄우려면 지방공항 취항을 통해 배점을 높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정부는 앞으로 신규 취항하거나 운항횟수를 늘리는 항공사에게 공항시설사용료를 깍아 주고 적자노선의 손실을 보전해주는 방안도 추진키로 해 지방공항의 활주로는 더욱 붐빌 것으로 보인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
국토해양부는 올 들어 지난 4월까지의 국내 항공 여객은 1272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4%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국제선 여객은 224만명으로 20.4%나 늘었다.또 지난 4월 한달 동안의 국내 항공 여객은 379만4000명으로,지난 2년간 성수기 실적(지난해 8월 377만3000명)을 뛰어넘었다.
특히 KTX와 고속도로 등 대체 교통수단의 확대로 침체에 빠져 있던 청주,무안,양양 등 일부 지방공항의 이용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청주공항의 국내선 여객은 올들어 작년보다 27.7%,국제선 여객은 75.3% 급증했다.청주공항에서는 현재 제주 노선으로 주 76회,베이징 노선으로 주 2회의 정기편과 전세편이 운항되고 있다.6월에는 대한항공이 청주~오사카 노선 운항을 계획하고 있다.무안공항에서는 베이징과 상하이 노선으로 각각 주 2회의 정기편과 전세편이 운항되고 있다.이 공항도 국내선 여객은 18.2%,국제선은 27.0% 증가했다.
19인승 이하 에어택시가 취항 중인 양양공항에는 기존의 코리아익스프레스 외에 이스트아시아에어가 내달 중 취항할 예정이다.또 18일부터는 중국 동방항공이 양양공항으로 주 4회,총 156편의 전세기 운항을 시작할 계획이다.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던 지방공항의 최근 부활 움직임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덕택이다.무엇보다 국제선 운수권을 배정할 때 지방공항 취항실적에 대한 배점을 대폭 높인게 주효했다.국제선 취항 기준을 폐지하는 등 항공산업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들도 신규 국제선 노선에 비행기를 띄우려면 지방공항 취항을 통해 배점을 높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정부는 앞으로 신규 취항하거나 운항횟수를 늘리는 항공사에게 공항시설사용료를 깍아 주고 적자노선의 손실을 보전해주는 방안도 추진키로 해 지방공항의 활주로는 더욱 붐빌 것으로 보인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