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조사 결과 발표 다음 날인 21일 청와대와 관련 부처들은 향후 대응책 마련에 분주했다.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3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군사적,외교적,경제적 차원의 가능한 한 모든 대북 제재 수단들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각각의 장 · 단점을 집중 분석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제공조 강화,군 대응 태세,북한의 비대칭 위협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비 태세 등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했고 회의는 진지하고 엄중한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정부는 북한이 천안함과 관련해 검열단을 보내겠다고 한 데 대해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남측의 분열을 노린 북한의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강도나 살인범이 현장을 검열하겠다는 의도로 말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북한은 이번 주말 검열단을 보내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유엔군사령부 특별조사팀이 북한의 정전협정 위반을 규명하게 되면 북한은 북-유엔사 간 장성급회담에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북한에 보낸 전화통지문을 통해 "유엔사가 천안함 침몰사건과 관련한 북한의 정전협정 위반 여부를 조사할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