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단위노동비용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 또 OECD 국가 중 3분기 연속 단위노동비용이 줄어든 3개국 중 하나로 조사됐다.

기획재정부는 경기 회복세에 접어든 지난해 4분기의 단위노동비용을 금융위기가 일어난 2008년 3분기와 비교한 OECD 조사에서 한국은 4.7%가 줄어 조사대상 23개 국가 중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한국외에 미국이 2.4%,일본과 아일랜드가 각각 1.8% 감소했다.나머지 국가는 금융위기 전후를 비교할 경우 모두 단위노동비용이 증가했다.핀란드와 그리스가 7% 증가한 것을 비롯해 OECD 전체 평균으로 0.3% 올랐다.

단위노동비용은 상품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들어가는 노동비용을 말한다.일반적으로 단위노동비용은 명목 임금이 줄어들거나 생산성이 높아질 때 감소한다.한국은 금융위기 여파로 명목 임금 감소폭이 생산성 감소폭보다 컸기 때문에 단위노동비용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결국 한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은 강화됐지만 근로자들의 소득수준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큰 폭으로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3분기 연속 단위노동비용이 감소한 국가는 OECD 국가 중 한국 독일 네덜란드 뿐이었다.한국의 단위노동비용은 경제위기가 발발한 2008년 3분기에 전분기 대비 0.3% 감소한 뒤 4분기에 0.6%,지난해 1분기에 0.4%씩 상승했으나 2분기에 -1.5%,3분기와 4분기에 각각 -2.2%를 기록했다.지난해 4분기의 경우 OECD 회원국의 평균 단위노동비용이 0.9%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 2.5배가량 더 떨어진 셈이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