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재정위기로 국제경제가 불투명성에 휩싸이면서 미-중 전략 · 경제대화가 원론적인 문제만 서로 언급한 채 25일 막을 내렸다.

중국 베이징에서 지난 24일부터 열린 이번 전략 · 경제대화는 위안화 평가절상을 두고 미국과 중국이 날선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됐었다. 그러나 티모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이 "중국의 환율개혁 의지를 환영하며 이것은 중국 스스로 결정할 문제"라고 언급하는등 중국의 입장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거듭해 양측이 물밑에서 모종의 합의를 한 게 아니냐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대표단은 이날 저녁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환경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8건의 협력 합의문을 작성한 것을 비롯 총 26개 분야에서 상호 협조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위안화 절상 문제에 대해선 "중국이 결정할 문제"(가이트너 장관) "점진적인 환율제도 개혁추진"(중국 왕치산 부총리) 등 미국과 중국이 각각 갖고 있는 모범답안만이 오고갔다.

양측은 유럽발 재정위기로 대립을 피한 것으로 보인다. 유럽발 위기로 조기 출구전략 실시가 불가능하다는 분위기가 조성된 데다 △중국의 무역흑자가 큰 폭으로 줄어들고 △유로화대비 위안화 가치가 지난 네 달 사이 14%가량 오르면서 미국은 공격할 명분이 약해졌고,중국은 방어할 근거가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비핵심 의제였던 △미국의 첨단기술상품의 수출제한 완화 △미국과 중국의 외국인 투자에 대한 차별적 대우 각각 폐지 △중국의 시장경제 지위 인정등이 논의됐다.

모건스탠리 홍콩법인 스탠리 홍 연구원은 "위안화절상문제는 유럽발 재정위기로 크게 부각되지 않았지만 언제든 폭발이 가능하다"며 "이번 전략 · 경제대화는 쌍방이 향후 행보를 위한 명분쌓기용 회담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