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안전도시 공인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오는 2012년 인증을 목표로 관련사업 및 절차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사고로 인한 시민들의 손상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도시 이미지 창출로 21세기 동북아 물류허브 기지 건설을 위한 국제안전도시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부산시는 우선 올 하반기 유관기관 및 단체로 구성된 안전도시 추진협의회 구성 및 관련조례를 제정하고 2011년 하반기 아시아지역의 안전도시 공인센터인 아주대 안전도시센터에 공인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2012년 상반기 안전도시 공인인증기관인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현지실사 평가를 거쳐 2012년 하반기까지 WHO 안전도시 인증을 받기로 했다.

현재까지 WHO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은 국가는 달라스(미국), 로테르담(네덜란드), 맬버른(호주) 등 28개국 159개 도시다.국내에서는 수원시,서울 송파구,제주도,원주시,천안시 등 5개 도시가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았고,부산시를 비롯해 25개 120개 도시가 공인 준비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의 이번 계획은 WHO의 공인기준에 근거하여 마련된 것.△안전도시 공인에 대한 범시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조례제정 및 추진협의회·네트워크 등 구성 △교통과 학교,자살,가정·거주시설,관광·해양,재난 등 6개 분야 안전증진 프로그램 추진 △경로당, 어린이집, 놀이시설, 보행환경개선 등 위험도가 높은 영역에 대한 손상예방사업 추진 △안전도시사업의 기본 자료인 손상자료 수집 및 분석, 손상지표 산출을 담당할 안전도시 연구센터 운영 △안전도시의 추진과정·결과·사업효과 등을 평가할 평가관리체계 구축 △안전도시 관련 학회, 연차대회 등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로 안전한 도시이미지 제고 등의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6개 분야 안전증진 프로그램은 △교통안전 문화교육, 보행낙후지역 및 사고 다발지역 정비, 통학로 스쿨존 규제강화 등 교통안전 △5대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추진하는 안전시범학교 사업, 연간 60개교를 대상으로 한 안전의식 교육 등 학교안전 △고위험(노인) 계층을 대상으로 한 우울증 예방교육,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 강연회, 자살 고위험지역의 환경개선사업, 자살예방센터 설치, 위기중재시스템 확대 등 자살안전 대책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가정안전 가이드라인 제공, 취약주택·경로당·어린이놀이시설 환경개선, 안전용 CCTV 확대기준 마련 등 가정·거주시설 안전 △관광지역내 안전예방사업, 해양스포츠 안전기준 설정 등 관광·해양안전 △시민안전문화 확산, U-방재시스템 구축, 재난구급정보지원 시스템 마련 등 재난안전 등의 사업도 실시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의 차질 없는 수행을 위해 관련부서 및 자치구·군, 경찰청, 교육청, 소방본부 등 관련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