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치열한 對中 외교전…안보리 제재 성패 달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천안함사태를 둘러싸고 주말 외교전이 중대한 고비가 될 전망이다. 특히 남북이 모두 중국을 상대로 치열한 구애 경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중국이 어느 쪽의 손을 들어주느냐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관철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18일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에게 합동조사단의 조사 내용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 데 이어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우다웨이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두 차례나 만났다.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 간 28일 서울 양자회담에 이어 29~30일 제주에서 열리는 한 · 일 · 중 정상회의가 정점이다. 이 대통령은 내달 4~5일엔 싱가포르 아시아안보회의에 참석해 천안함 설득전에 나선다.
중국에 대한 북한의 구애 노력도 만만치 않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달 초 전격 중국을 방문해 '천안함사태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전달한 후 최근 외교 채널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재차 중국 측에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이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보고서와 관련 자료를 중국에 전달한 이후의 움직임이다.
한편 정부가 이르면 다음 주 중 천안함사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키로 함에 따라 대응 수위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이번 사건이 국제 평화와 안전을 저해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법적 구속력을 갖는 대북 결의안 채택을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
정부는 지난 18일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에게 합동조사단의 조사 내용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 데 이어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우다웨이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두 차례나 만났다.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 간 28일 서울 양자회담에 이어 29~30일 제주에서 열리는 한 · 일 · 중 정상회의가 정점이다. 이 대통령은 내달 4~5일엔 싱가포르 아시아안보회의에 참석해 천안함 설득전에 나선다.
중국에 대한 북한의 구애 노력도 만만치 않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달 초 전격 중국을 방문해 '천안함사태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전달한 후 최근 외교 채널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재차 중국 측에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이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보고서와 관련 자료를 중국에 전달한 이후의 움직임이다.
한편 정부가 이르면 다음 주 중 천안함사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키로 함에 따라 대응 수위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이번 사건이 국제 평화와 안전을 저해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법적 구속력을 갖는 대북 결의안 채택을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