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국내 연구진이 얼음 속에 있는 산화철 입자가 햇빛에 의해 미세조류에 필요한 철분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포스텍 최원용 교수팀은 31일 고층 대기나 극지방 얼음에 갇힌 산화철 분진 입자가 태양광과 반응하면 미세조류가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빠르게 변환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발표했다.이 논문은 사이언스 5월 28일자에 편집장 선정논문으로 소개됐으며 환경분야 권위지 ‘환경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미국화학회 소식지인 ‘화학과 공학 뉴스(Chemical & Engineering News)’최신호에도 게재됐다.
산화철은 대기 중 미네랄 분진의 주성분으로 해양 미생물에 철분을 공급하는 주 원천이다.그러나 미세조류가 섭취할 수 있게 변환되기 위해서는 광화학적·생물학적 반응이 필요하다.연구진은 용액이 얼 때 산화철 입자들이 얼음결정 주위에 액체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경계영역에 응집해 농축돼 있다가(결빙 농축 효과),햇빛이 비춰지면 얼음이 녹으면서 미세조류가 먹을 수 있는 형태로 환원돼 녹아나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이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바다로 흡수함으로써 해양 미세조류의 생산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철분 공급 메커니즘을 규명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최원용 교수는 “산화철 입자가 철분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얼음의 새로운 역할을 규명한 것”이라며 “기후변화에 따른 조류 광합성 생산력 변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