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선택…교육감 당선자] 서울 곽노현 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곽노현, 인권위 사무총장 역임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을 거쳐 노무현 정부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을 역임하는 등 인권활동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의 요청으로 경기도 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하는 과정에서 불합리한 교육 현실을 접하고 이를 개혁하겠다는 포부를 갖고 진보진영 단일후보로 출마했다.
△서울(55)
△서울대 법학과
△펜실베이니아대 법학 석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교수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
부산 임혜경, 초등 교사출신…유일한 여성당선자
유일한 여성 당선자다. 초등학교 교사 20년,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 5년,교감 · 교장 · 교수 등을 두루 거치며 일선 교육 현장에서 40년 외길 인생을 걸어왔다. 2007년 첫 교육감 선거에서 낙선한 후 사회복지학 박사과정,교육학 강의,상담 봉사활동 등을 통해 두루 경험을 쌓았다.
△경남 마산(62)
△부산교대
△부산교대 교육행정학 석사
△경성대 사회복지학 박사 재학
△사하초 교사
△용호초 교장
△부산 북부교육청 초등교육 장학사
△부산교육청 특수교육 장학관
대구 우동기, 영남대 총장 역임…행정전문가
영남대 재학 시절 교육부 주최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에서 '환경행정'을 주제로 발표해 최우수상을 받으며 행정 분야에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국토개발연구원,서울시정개발연구원 등을 거치며 전문적인 행정 능력을 쌓았다. 영남대 행정학과 교수,비서실장,홍보실장,총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행정 경험을 늘렸다.
△경북 의성(58)
△영남대 행정학
△일본 쓰쿠바대 사회공학 박사
△국토개발연구원 연구위원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조직위원회 집행위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경영연구부장
△영남대 행정학과 교수
△영남대 총장
인천 나근형, 학업성취 목표관리제 도입 의욕
1964년 김포여자상고에서 첫 교편을 잡았다. 이후 고교 교감,교장 등을 역임하며 일선 교육 현장 경험을 넓게 쌓았다. 인천 교육청 장학사,장학관을 거치며 교육 행정 능력도 쌓았다. 2001년 제3대 교육감 선거에 출마,당선한 이후 연임에 이어 이번 선거까지 승리하며 인천교육감 3선에 성공했다. 임기 동안 인천 학생들의 성적이 떨어졌다는 책임론 속에 학업 성취 목표를 관리하는 제도를 갖춘다는 복안이다.
△인천(70)
△서울대 수학교육
△동인천고 교사
△인천교육청 중등교육 장학사
△인천시 문화예술진흥위원
△인천시 체육회 이사
△인천교육감
광주 장휘국, 전교조·시민단체 두루 활동
초 · 중등 교사로 재직하다 1989년 전교조 설립 초기 해직교사로 교단에서 쫓겨났다가 복직했다. 전교조 광주지부 사무국장과 지부장을 역임했으며 각종 시민단체 이사나 대표 등으로 활약하는 시민운동가. 진보진영 단일후보로 나서 현직 교육감과의 대결에서 승리했다.
△광주(60)
△광주교육대학
△조선대 대학원 사학과
△백수서초등학교 교사
△전교조 광주지부장
△광주시 교육위원
대전 김신호, 부패방지 시책평가 3년 연속 1위
직선 초대 교육감 등을 거치며 신임을 늘렸다. 지난해 교육청 평가 전국 최다 분야 우수교육청 선정,부패방지 시책 평가 3연속 전국 1위 등 실적을 쌓았다.
△충남 논산(57)
△공주교대
△웨스턴일리노이대 교육학 석사
△아이오와대 교육심리학 박사
△대전교육청 심의위원
△공주교대 학생생활연구소장
△대전시 교육위원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회장
△대전교육감
울산 김복만, 광역시 승격 이끌어낸 '울산 마당발'
2007년 초대 교육감 선거에서 2위로 낙선했으나 와신상담의 각오로 재도전해 성공했다. 울산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활발한 대외활동을 펼쳤고 울산광역시추진위원회 실무위원장을 맡으면서 광역시 승격을 이끌어내는 등 폭넓은 대인관계를 보여 마당발로 통한다.
△울산(62)
△한양대 산업공학 박사
△울산대 산업경영공학부 교수
△울산교원단체협의회 부회장
△울산 정무부시장
경기 김상곤, 첫 진보 교육감…재선 성공
지난해 경기도의 첫 직선 교육감에 오른 뒤 재선에 성공했다. 당시 진보진영의 단일화 후보로 공교육 정상화를 구호로 내걸어 2007년 주민 직선 이후 진보 성향 후보로는 처음 당선했다. 이후 교육부의 시국선언 교사 징계 요청 거절,일제고사 및 자율형 사립고 지정 반대,학교 무상급식 문제 등으로 경기도지사 및 교육부 등 정부와 갈등을 빚어왔다. 그럼에도 무상급식 확대,혁신학교 운영 등은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광주(60)
△서울대 경영학 박사
△한신대 경영학과 교수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
△등록금 후불제를 위한 교수대책위원회 위원장
△경기교육감
강원 민병희 : 전교조 강원지부장 3회 역임
전교조 운동 1세대로 3차례 전교조 강원지부장을 역임했다. 춘천여고에 근무하던 1989년 전교조 결성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해직됐다가 춘천 소양중으로 복직했다. 인제 원통중에 근무하던 2002년 제4대 강원도 교육위원에 최다 득표로 당선하면서 교단생활을 접고 교육행정가의 길로 들어섰다.
△춘천(56)
△강원대 수학교육과
△제4 · 5대 강원도 교육위원
충북 이기용, 중고교 교장출신 3선 교육감
3선에 성공한 현직 교육감.1972년 괴산 연풍중 교사를 시작으로 교육계에 입문해 진천 이월중 교장,청주중 교장,괴산고 교장,괴산교육장 등을 지냈다. 2005년 보궐선거에서 당선한 데 이어 2007년 14대 교육감까지 올랐다.
△진천(65)
△중앙대 행정학
△경희대 교육학 석사
△한국교원대 교육연구사
△충북 영동교육청 장학사
△충북교육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부회장
충남 김종성, 지역학생 학력 빠르게 끌어올려
지난해 4월 교육감 보궐선거에서 당선해 제14대 충남교육감에 올랐다. 취임 후 충남교육을 빠르게 안정시키고 저조한 학력도 중상위권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충남 공주(60)
△공주대 영어교육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이인중 교사
△천북중 교감
△교직원공제회 충남지부장
△사곡중 교장
△충남교육청 중등교육 장학관
△충남 공주교육청 교육장
△충남교육감
전북 김승환, 군의문사 진상규명 활동
건국대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교수이자 법학자로 전북지역 민주진보 단일후보로 나서 당선했다. 군의문사 진상규명 위원으로 활동하고 인권 관련 기고나 방송 출연을 활발히 해왔다.
△전북 익산(56)
△건국대 행정학과
△고려대 법학 박사
△전북대 법학과 교수
△전북평화와 인권연대 대표
△한국헌법학회 회장
전남 장만채, 최연소 국공립대 총장 출신
서울대 화학과와 KAIST 화학과(석 · 박사)를 졸업하고 학자의 길을 걸어왔다. 2006년 순천대 총장으로 취임,최연소 국공립대 총장이 됐다. 총장 재직 시절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운동 및 재독 학자인 송두율 교수 석방 촉구에 나서는 등 진보적인 활동에 참여했다.
△전남 영암(52)
△서울대 화학
△KAIST 물리화학 석 · 박사
△일본 분자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미국 플로리다대 교환교수
△순천대 자연과학대학장
△순천대 총장
경북 이영우, 지역 교육현안 밝은 교육실무통
공교육 현장에서 활동했다. 경상북도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을 거치는 등 행정 경험을 갖췄다. 2009년 4월 보궐선거에서 경북도교육감으로 당선했으며 이번에 재선에 성공했다.
△경북 경산(64)
△경북대 국어교육
△안덕고 교사
△예천종고 교감
△경북 영주교육청 장학사
△계림고 교장
△경북교육청 교육정책국장
△대한적십자사 경북지사 상임위원
△경북교육감
경남 고영진, 전직 교육감 '리턴 매치' 승리
전직 교육감이 현직 교육감(권정호 후보)에게 '리턴 매치' 도전장을 내밀어 화제를 모았다. 2007년 14대 경남교육감 선거 당시 교육감이었던 그는 권정호 후보(14대 경남교육감)에게 패배했으나 이번에 설욕하며 승리를 거두었다.
△경남 진주(63)
△경남대 영어교육
△경상대 대학원 석사
△동아대 교육학 박사
△경남교육청 교육정보화과장
△경남 진주교육청 교육장
△경남교육감
△한국국제대 총장
△한국교육방송공사(EBS) 교육부문 이사
제주 양성언, 학업 성취도 높여 3선 성공
2004년 5월 보궐선거 당선 이후 2007년 12월 치러진 교육감 선거에서 13대 제주도교육감으로 당선한 데 이어 이번에 3선에 성공했다.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외국어,수리영역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는 등 전국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제주 서귀포(68)
△제주교대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
△아라초 교감
△화산초 교장
△서귀포 학생문화원 원장
△제주 교육위원
△제주교육감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을 거쳐 노무현 정부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을 역임하는 등 인권활동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의 요청으로 경기도 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하는 과정에서 불합리한 교육 현실을 접하고 이를 개혁하겠다는 포부를 갖고 진보진영 단일후보로 출마했다.
△서울(55)
△서울대 법학과
△펜실베이니아대 법학 석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교수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
부산 임혜경, 초등 교사출신…유일한 여성당선자
유일한 여성 당선자다. 초등학교 교사 20년,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 5년,교감 · 교장 · 교수 등을 두루 거치며 일선 교육 현장에서 40년 외길 인생을 걸어왔다. 2007년 첫 교육감 선거에서 낙선한 후 사회복지학 박사과정,교육학 강의,상담 봉사활동 등을 통해 두루 경험을 쌓았다.
△경남 마산(62)
△부산교대
△부산교대 교육행정학 석사
△경성대 사회복지학 박사 재학
△사하초 교사
△용호초 교장
△부산 북부교육청 초등교육 장학사
△부산교육청 특수교육 장학관
대구 우동기, 영남대 총장 역임…행정전문가
영남대 재학 시절 교육부 주최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에서 '환경행정'을 주제로 발표해 최우수상을 받으며 행정 분야에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국토개발연구원,서울시정개발연구원 등을 거치며 전문적인 행정 능력을 쌓았다. 영남대 행정학과 교수,비서실장,홍보실장,총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행정 경험을 늘렸다.
△경북 의성(58)
△영남대 행정학
△일본 쓰쿠바대 사회공학 박사
△국토개발연구원 연구위원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조직위원회 집행위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경영연구부장
△영남대 행정학과 교수
△영남대 총장
인천 나근형, 학업성취 목표관리제 도입 의욕
1964년 김포여자상고에서 첫 교편을 잡았다. 이후 고교 교감,교장 등을 역임하며 일선 교육 현장 경험을 넓게 쌓았다. 인천 교육청 장학사,장학관을 거치며 교육 행정 능력도 쌓았다. 2001년 제3대 교육감 선거에 출마,당선한 이후 연임에 이어 이번 선거까지 승리하며 인천교육감 3선에 성공했다. 임기 동안 인천 학생들의 성적이 떨어졌다는 책임론 속에 학업 성취 목표를 관리하는 제도를 갖춘다는 복안이다.
△인천(70)
△서울대 수학교육
△동인천고 교사
△인천교육청 중등교육 장학사
△인천시 문화예술진흥위원
△인천시 체육회 이사
△인천교육감
광주 장휘국, 전교조·시민단체 두루 활동
초 · 중등 교사로 재직하다 1989년 전교조 설립 초기 해직교사로 교단에서 쫓겨났다가 복직했다. 전교조 광주지부 사무국장과 지부장을 역임했으며 각종 시민단체 이사나 대표 등으로 활약하는 시민운동가. 진보진영 단일후보로 나서 현직 교육감과의 대결에서 승리했다.
△광주(60)
△광주교육대학
△조선대 대학원 사학과
△백수서초등학교 교사
△전교조 광주지부장
△광주시 교육위원
대전 김신호, 부패방지 시책평가 3년 연속 1위
직선 초대 교육감 등을 거치며 신임을 늘렸다. 지난해 교육청 평가 전국 최다 분야 우수교육청 선정,부패방지 시책 평가 3연속 전국 1위 등 실적을 쌓았다.
△충남 논산(57)
△공주교대
△웨스턴일리노이대 교육학 석사
△아이오와대 교육심리학 박사
△대전교육청 심의위원
△공주교대 학생생활연구소장
△대전시 교육위원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회장
△대전교육감
울산 김복만, 광역시 승격 이끌어낸 '울산 마당발'
2007년 초대 교육감 선거에서 2위로 낙선했으나 와신상담의 각오로 재도전해 성공했다. 울산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활발한 대외활동을 펼쳤고 울산광역시추진위원회 실무위원장을 맡으면서 광역시 승격을 이끌어내는 등 폭넓은 대인관계를 보여 마당발로 통한다.
△울산(62)
△한양대 산업공학 박사
△울산대 산업경영공학부 교수
△울산교원단체협의회 부회장
△울산 정무부시장
경기 김상곤, 첫 진보 교육감…재선 성공
지난해 경기도의 첫 직선 교육감에 오른 뒤 재선에 성공했다. 당시 진보진영의 단일화 후보로 공교육 정상화를 구호로 내걸어 2007년 주민 직선 이후 진보 성향 후보로는 처음 당선했다. 이후 교육부의 시국선언 교사 징계 요청 거절,일제고사 및 자율형 사립고 지정 반대,학교 무상급식 문제 등으로 경기도지사 및 교육부 등 정부와 갈등을 빚어왔다. 그럼에도 무상급식 확대,혁신학교 운영 등은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광주(60)
△서울대 경영학 박사
△한신대 경영학과 교수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
△등록금 후불제를 위한 교수대책위원회 위원장
△경기교육감
강원 민병희 : 전교조 강원지부장 3회 역임
전교조 운동 1세대로 3차례 전교조 강원지부장을 역임했다. 춘천여고에 근무하던 1989년 전교조 결성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해직됐다가 춘천 소양중으로 복직했다. 인제 원통중에 근무하던 2002년 제4대 강원도 교육위원에 최다 득표로 당선하면서 교단생활을 접고 교육행정가의 길로 들어섰다.
△춘천(56)
△강원대 수학교육과
△제4 · 5대 강원도 교육위원
충북 이기용, 중고교 교장출신 3선 교육감
3선에 성공한 현직 교육감.1972년 괴산 연풍중 교사를 시작으로 교육계에 입문해 진천 이월중 교장,청주중 교장,괴산고 교장,괴산교육장 등을 지냈다. 2005년 보궐선거에서 당선한 데 이어 2007년 14대 교육감까지 올랐다.
△진천(65)
△중앙대 행정학
△경희대 교육학 석사
△한국교원대 교육연구사
△충북 영동교육청 장학사
△충북교육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부회장
충남 김종성, 지역학생 학력 빠르게 끌어올려
지난해 4월 교육감 보궐선거에서 당선해 제14대 충남교육감에 올랐다. 취임 후 충남교육을 빠르게 안정시키고 저조한 학력도 중상위권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충남 공주(60)
△공주대 영어교육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이인중 교사
△천북중 교감
△교직원공제회 충남지부장
△사곡중 교장
△충남교육청 중등교육 장학관
△충남 공주교육청 교육장
△충남교육감
전북 김승환, 군의문사 진상규명 활동
건국대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교수이자 법학자로 전북지역 민주진보 단일후보로 나서 당선했다. 군의문사 진상규명 위원으로 활동하고 인권 관련 기고나 방송 출연을 활발히 해왔다.
△전북 익산(56)
△건국대 행정학과
△고려대 법학 박사
△전북대 법학과 교수
△전북평화와 인권연대 대표
△한국헌법학회 회장
전남 장만채, 최연소 국공립대 총장 출신
서울대 화학과와 KAIST 화학과(석 · 박사)를 졸업하고 학자의 길을 걸어왔다. 2006년 순천대 총장으로 취임,최연소 국공립대 총장이 됐다. 총장 재직 시절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운동 및 재독 학자인 송두율 교수 석방 촉구에 나서는 등 진보적인 활동에 참여했다.
△전남 영암(52)
△서울대 화학
△KAIST 물리화학 석 · 박사
△일본 분자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미국 플로리다대 교환교수
△순천대 자연과학대학장
△순천대 총장
경북 이영우, 지역 교육현안 밝은 교육실무통
공교육 현장에서 활동했다. 경상북도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을 거치는 등 행정 경험을 갖췄다. 2009년 4월 보궐선거에서 경북도교육감으로 당선했으며 이번에 재선에 성공했다.
△경북 경산(64)
△경북대 국어교육
△안덕고 교사
△예천종고 교감
△경북 영주교육청 장학사
△계림고 교장
△경북교육청 교육정책국장
△대한적십자사 경북지사 상임위원
△경북교육감
경남 고영진, 전직 교육감 '리턴 매치' 승리
전직 교육감이 현직 교육감(권정호 후보)에게 '리턴 매치' 도전장을 내밀어 화제를 모았다. 2007년 14대 경남교육감 선거 당시 교육감이었던 그는 권정호 후보(14대 경남교육감)에게 패배했으나 이번에 설욕하며 승리를 거두었다.
△경남 진주(63)
△경남대 영어교육
△경상대 대학원 석사
△동아대 교육학 박사
△경남교육청 교육정보화과장
△경남 진주교육청 교육장
△경남교육감
△한국국제대 총장
△한국교육방송공사(EBS) 교육부문 이사
제주 양성언, 학업 성취도 높여 3선 성공
2004년 5월 보궐선거 당선 이후 2007년 12월 치러진 교육감 선거에서 13대 제주도교육감으로 당선한 데 이어 이번에 3선에 성공했다.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외국어,수리영역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는 등 전국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제주 서귀포(68)
△제주교대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
△아라초 교감
△화산초 교장
△서귀포 학생문화원 원장
△제주 교육위원
△제주교육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