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점이상 '최우수 그룹'…
비교적 빠른시기 노후준비
은퇴후 안정적 삶 가능
36~40점 '우수 그룹'…
1년마다 포트폴리오 점검
현금흐름 면밀히 살펴야
31~35점 '보통 그룹'…
투자는 필수 지출항목
빠른 시간내 계획 세워야
30점 '미흡'…
합리적인 지출ㆍ투자 등
은퇴준비 당장 들어가야
대다수 사람들은 자신의 노후준비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모른다. 막연하게 이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고 있는 것이 대다수 노후준비의 실체다.
철저한 노후준비는 이 같은 인식을 바꾸는 데서 시작된다. 각 금융회사가 제공하는 자가진단 검사표를 이용하면 현재 노후준비 정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아래 문항은 삼성생명이 금융전문가를 통해 작성한 것이다. 자가테스트 결과에 기초해 안락한 노후를 위해 스스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1점 이상 '최우수 그룹'
10개 문항에서 평균 4점 이상을 받은 만큼 은퇴 준비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은퇴 준비도 착실히 하고 있어 은퇴 이후의 삶을 여유롭고 행복있게 보낼 가능성이 높다. 비교적 빠른 시기에 노후준비를 시작했고 은퇴 후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계획도 마련해 진행 중이다. 전문가로부터 은퇴 후 프로그램에 대한 조언을 받고 있으며 현재 보유한 금융자산과 부동산을 활용한 투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 100세 시대가 열리고 있는 만큼 재무설계 전문가로부터 보다 체계적인 컨설팅을 받고 주기적으로 이를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36~40점 '우수 그룹'
은퇴 준비에 대한 관심이 높고 준비도 비교적 잘하고 있다. 하지만 보다 여유로운 은퇴 생활을 위해서는 철저한 계획수립과 실행이 요구된다. 재무설계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체계적인 은퇴 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실효성있는 은퇴준비를 위해서는 1년에 한 번 또는 반기에 한 번은 정기적으로 재무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준비를 충분히 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포트폴리오를 변경하거나 보완점이 발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장 상황에 따라 보유자산의 가치가 변하고 필요한 저축액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자산과 부채,현금흐름을 면밀히 살펴본 뒤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31~35점 '보통 그룹'
은퇴준비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노후에 대한 막연한 계획만 있을 뿐 구체적인 실행 방침을 마련하지 못했다. 빠른 시간 내에 체계적인 은퇴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생애재무설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나중에 준비해도 충분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은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노후준비를 위한 투자를 무조건 지출해야 하는 항목으로 따로 잡은 뒤 남는 범위 내에서 저축이나 자녀교육비 예산을 세워야 한다.
◆30점 이하 '미흡 그룹'
은퇴준비에 대해 많이 부족하다. 은퇴 이후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힘들어 하는 많은 사람들을 본보기 삼아 합리적인 지출 계획과 노후자금 마련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은퇴가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일단 '당장 시작하지 않으면 위험하며 현 상태대로라면 초라한 노후를 맞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자가체크 리스트는 H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