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사태 당분간 반영될 것"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유럽연합(EU)의 재정안정 메커니즘(European Stabilization Mechanism, ESM)에 지원하듯이 아시아에서 비슷한 사태가 일어나면 같은 방식으로 지원해주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정부 과천청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지난 주말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성과를 설명하면서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IMF 총재로부터 이런 내용을 다짐받았다고 밝혔다.

EU는 지난달 9일 브뤼셀에서 열린 긴급 재무장관 회의에서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 재정위기 확산 방지를 위해 대출과 지급보증을 지원수단으로 하는 5천억유로 규모의 ESM을 구축하기로 합의했으며 IMF도 여기에 2천500억유로의 차관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윤 장관은 "칸 총재에게 IMF가 지금까지 국가별로 지원했는데 IMF도 지원의 원칙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니까 공감했다"고 전했다.

다만 윤 장관은 "IMF가 국가별로 지원하는 원칙을 바꾸는 것은 아니다"라며 ESM도 형식상으로는 국가별로 지원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헝가리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 논란으로 이날 원.달러 환율이 34.1원 급등한 것과 관련 "그리스 사태도 끝나지 않아 헝가리 사태가 당분간 반영될 것"이라며 "유로화 약세, 달러화 강세로 원화가 영향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헝가리 총리가 전임 정부를 공격한 건데 자기 발등 찍은 것"이라며 "우리도 국내 문제를 국제 문제보다 우선하는데 이 사태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G20 재무장관 회의에서 논의한 글로벌 금융안전망과 관련, "선진국이 반대를 많이 했는데 전부 다 필요하다는 승복을 받았다"며 "11월 서울회담에서 안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번 회의의 의의는 우리나라가 국제회의에서 정한 규칙을 받는 `룰 테이커(rule taker)'에서 규칙을 정하는 '룰 세팅(rule setting)'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된 것"이라며 의장으로서의 소회를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