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직장인 5명 중 1명은 취업 후에도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자사회원인 직장인 1411명을 대상으로 ‘취업 후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해 조사한 결과 22.5%가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결혼 여부에 따라 살펴보면 미혼은 23.5%였으며,기혼도 19.6%가 부모에게 지원을 받고 있었다.

지원받는 이유로는 ‘월급이 많지 않아서’가 44.2%로 가장 많았다.다음으로 ‘주택비가 너무 비싸서’(14.8%),‘목돈 마련을 위해서’(10.1%),‘빚을 만들지 않으려고’(6.3%),‘월급관리를 부모님이 해서’(5.7%),‘부모님이 원해서’(5.4%) 등이 뒤를 이었다.지원받고 있는 것은 ‘주택비’(23%,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이어 ‘생활비 일부’(22.7%),‘용돈’(20.2%),‘보험료’(19.2%),‘통신비’(18.6%),‘기타’(14.2%),‘교통비’(12.9%),‘차량유지비’(11.4%) 등의 순이었다.

한 달 동안 지원받는 금액은 ‘10만~30만원 미만’(40.7%),‘10만원 미만’(28.7%),‘30만~50만원 미만’(14.8%),‘50만~100만원 미만’(10.1%) 등의 순으로 평균 35만원으로 집계됐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부모가 자녀에게 언제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응답자의 절반 이상(57.3%)이 학창시절인 ‘대학 졸업 때까지’(36.8%),‘고등학교 졸업 때까지’(20.5%) 지원해줘야 한다고 답했다.이외에 ‘취업할 때까지’(19.7%),‘결혼할 때까지’(8.4%),‘부모님 능력이 될 때까지’(7.3%),‘내 집 마련을 할 때까지’(1.6%) 등의 의견도 있었다.

취업 후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66.2%가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 ‘경제적 독립심을 키우지 못해서’(34.2%)를 가장 많이 택했다.이어 ‘부모가 경제적으로 힘들 것 같아서’(29.4%),‘키워주신 것만으로도 감사해서’(23.2%),‘현재 월급으로도 충분해서’(4.5%) 순이었다.

반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응답자(477명)는 그 이유로 ‘경제적 기반을 빨리 잡을 수 있어서’(53.5%)를 1위로 꼽았으며 이어 ‘저축액을 늘릴 수 있어서’(14.9%),‘경제적으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어서’(9%),‘빚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어서’(7.6%) 등의 의견이 있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