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ㆍ중립 "국정동반자 인식.수평적 당청관계가 우선"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는 8일 지방선거 패배로 불거진 당 쇄신론 와중에 제기된 `박근혜 역할론'에 대해 "드릴 말씀이 없다"고 했다.

박 전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회의 출석에 앞서 기자들이 "전면으로 나와야 한다는 말이 당내에서 많다"고 질문하자 구체적 답변을 피한채 이같이 언급했다.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질문에도 아예 응하지 않았다.

당 일각에선 선거 패배 이후 당을 추스르기 위해 박 전 대표가 어떤 형태로든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인식이 적지 않다.

전날인 7일 워크숍에서는 친이(친이명박)계 의원들이 박 전 대표를 국무총리나 당 대표로 추대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제기했다.

그러나 친박(친박근혜)계와 일부 중립성향 인사들은 `수평적 당.청관계'와 친박계에 대한 국정 동반자 인식 등 근본적 해법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면서 비판적 시각을 내보이고 있다.

중립 성향의 권영세 의원은 CBS라디오 `이종훈의 뉴스쇼'에 출연, "박 전 대표가 일을 할 분위기를 만든 다음에 요청해야지, 세워놓고 흔들릴 수 있는 상황에서 역할을 맡으라는 식이라면 맡기도 힘들 거고, 대표를 맡아도 당에 플러스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당이 청와대를 따라가는 수직적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 관계가 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친박 현기환 의원은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박 전 대표를 국정의 동반자로 대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면서 "박 전 대표가 당과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았다.

여권이 화합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먼저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지낸 유정복 의원도 전당대회 출마 등 박 전 대표의 역할론에 대해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정확히 이해하는 게 출발점"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친이계 진수희 의원은 "박 전 대표 정도의 지도자이면 당에서 여건을 만들어주는 차원보다는 좀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앞장서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시각차를 보였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