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中企 지원에 역점…强小기업으로 키워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중수 한은총재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8일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은 (기존 기업에 대한) 보호보다 시장에 처음 진입하는 신생기업 지원에 역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국제경제학회(회장 김인철)가 주최한 '일자리 창출 성장정책과 중소기업의 역할' 세미나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제언'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중소기업에 대한 시각을 보호와 지원에서 시장기능의 실패에 대한 보완으로 바꿔야 한다"고 정부 정책 변화를 주문했다. 중소기업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혁신 역량을 강화해 '강소(强小)기업'으로 거듭나야 대기업과 실질적인 상생관계를 이루며 계속기업으로 존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총재는 "창업은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이자 경제 활력소"라며 "창업활동에 정부 정책의 역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1인기업이 확대될 경우 자신만의 핵심 역량에 기초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만큼 소규모 · 효율성 위주의 1인기업 육성에 힘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총재는 이날 세미나 후 기자들과 만나 유럽 재정문제와 관련해 "조금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태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고,실질적인 모양이 어떤지 모르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김 총재는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국제경제학회(회장 김인철)가 주최한 '일자리 창출 성장정책과 중소기업의 역할' 세미나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제언'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중소기업에 대한 시각을 보호와 지원에서 시장기능의 실패에 대한 보완으로 바꿔야 한다"고 정부 정책 변화를 주문했다. 중소기업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혁신 역량을 강화해 '강소(强小)기업'으로 거듭나야 대기업과 실질적인 상생관계를 이루며 계속기업으로 존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총재는 "창업은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이자 경제 활력소"라며 "창업활동에 정부 정책의 역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1인기업이 확대될 경우 자신만의 핵심 역량에 기초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만큼 소규모 · 효율성 위주의 1인기업 육성에 힘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총재는 이날 세미나 후 기자들과 만나 유럽 재정문제와 관련해 "조금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태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고,실질적인 모양이 어떤지 모르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