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노동계와 경영계,정부가 다음달부터 시행되는 타임오프를 앞두고 노조전임자와 복수노조 제도의 연착륙 방안을 논의한다.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노사정위원회)는 10일 ‘노사문화선진화위원회’의 제1차 회의를 갖고 공식 출범했다.

노사문화선진화위원회 발족은 지난달 11일 노사정간 합의에 따른 것이다.위원회는 다음달부터 타임오프제가 시행됨에 따라 제도 시행상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착륙 방안을 마련하고 전임자 및 복수노조 제도 개선을 계기로 노사문화를 보다 선진화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노사정이 합의한 구체적인 논의의제는 △근로시간 면제제도 현장 정착을 위한 연착륙 방안 △복수노조 교섭제도 현장정착을 위한 지원방안 △작업장 혁신,일자리 창출 등 노사협력 사업 지원방안 △선진노사문화 구축방안 등이다.

노사문화선진화위원회에서는 박준성 성신여대 교수(위원장)를 비롯한 근로자·사용자·정부·공익위원 각 3명으로 12명이 참여해 1년 동안(필요시 6개월 연장) 논의할 예정이다.위원회 관계자는 “현재는 근로자위원이 2명”이라며 “민주노총이 참여할 경우 근로자위원의 수를 증원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준성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 앞서 인사말을 통해 “7월1일부터 새로운 노동법제가 시행됨에 따라 이들 제도가 산업현장에 무리 없이 정착되고 나아가 노사문화를 선진화 시킬 수 있도록 노사와 공익,정부가 지혜를 모아 훌륭한 방안을 만들자”고 말했다.

제2차 회의는 오는 17일 오전 7시30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서 개최되며 향후 세부 의제 및 일정 등을 논의해 확정할 예정이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