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질방 위생,안전관리 소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찜질방의 위생·안전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0일 전국 기차역·터미널 부근의 18개 찜질방 베개,매트,안마의자 등의 위생 상태를 검사한 결과 13곳에서 곰팡이가 검출됐고,3개 찜질방에서는 무좀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일반세균은 10㎠당 4~4100CFU가 검출됐는데 이 가운데 3곳은 할인마트 카트 손잡이의 평균(1100CFU/1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이와 함께 70개 발한실 가운데 별도의 환기 시설이 없는 곳은 54.2%로 오염된 공기로 인한 피해도 우려된고 덧붙였다.발한실의 평균 조도는 11룩스로 18개 찜질방 모두 조도기준(75룩스)보다 현저히 낮은 어두운 상태였고,8개 찜질방은 발열기 주변에 안전망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부적절하게 설치해 화상의 위험도 높았다.비상구가 폐쇄된 곳(5개)과 비상구 주변에 적치물을 쌓아둔 곳(6개)이 있어 화재 등 응급상황시 원활한 대피가 어려운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한편 2007년부터 지난 3월까지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찜질방 관련 위해사례는 167건으로 발한실(43건,25.7%)에서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고,열상/찰과상(64건,38.3%),화상(36건,21.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에 △찜질방 시설과 다중이용 용품에 대한 소독기준 마련△찜질방 내 발한실 환기 기준 마련△찜질방 위생관리기준의 관리 감독 강화 등을 건의할 계획이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
한국소비자원은 10일 전국 기차역·터미널 부근의 18개 찜질방 베개,매트,안마의자 등의 위생 상태를 검사한 결과 13곳에서 곰팡이가 검출됐고,3개 찜질방에서는 무좀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일반세균은 10㎠당 4~4100CFU가 검출됐는데 이 가운데 3곳은 할인마트 카트 손잡이의 평균(1100CFU/1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이와 함께 70개 발한실 가운데 별도의 환기 시설이 없는 곳은 54.2%로 오염된 공기로 인한 피해도 우려된고 덧붙였다.발한실의 평균 조도는 11룩스로 18개 찜질방 모두 조도기준(75룩스)보다 현저히 낮은 어두운 상태였고,8개 찜질방은 발열기 주변에 안전망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부적절하게 설치해 화상의 위험도 높았다.비상구가 폐쇄된 곳(5개)과 비상구 주변에 적치물을 쌓아둔 곳(6개)이 있어 화재 등 응급상황시 원활한 대피가 어려운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한편 2007년부터 지난 3월까지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찜질방 관련 위해사례는 167건으로 발한실(43건,25.7%)에서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고,열상/찰과상(64건,38.3%),화상(36건,21.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에 △찜질방 시설과 다중이용 용품에 대한 소독기준 마련△찜질방 내 발한실 환기 기준 마련△찜질방 위생관리기준의 관리 감독 강화 등을 건의할 계획이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