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발사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실패함에 따라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다. 또 3차 추가 발사할 경우 비용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발사실패의 원인이 러시아 측이 개발한 1단 로켓에 있다면 러시아 측으로부터 다시 1단 로켓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측에 있을 경우 러시아 후루니체프사가 계약조건에 따라 하단 로켓 제공을 거부할 수 있어 하단 로켓 제작 비용까지 고스란히 한국 측이 떠안을 수도 있다.

2002년부터 지금까지 우주발사체 나로호 개발에 투입된 예산은 5025억원.여기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건설비까지 합치면 총 8000억원 넘는 비용이 들어갔다. 이번 나로호 폭발로 발사체 제작비용 5025억원을 우주공간에 고스란히 날려버린 셈이다.

전문가들은 발사체를 추가로 제작할 경우 회당 2000억원 이상의 비용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항우연은 러시아 후루니체프사와 2004년 2억달러(약 2500억원)를 지불하고 계약을 체결하면서 최대 3회까지 하단 로켓을 공급받기로 했다. 따라서 앞으로 한 차례 더 러시아로부터 하단 로켓을 제공받을 수 있어 한국은 상단 로켓 제작 비용만 부담하면 된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이날 공식 브리핑에서 "오늘 오후 5시1분에 발사된 나로호는 이륙 후 137.19초까지는 정상적으로 비행했지만 이후 지상추적소와의 통신이 두절됐다"며 "나로호 상단에 탑재된 카메라 영상이 밝아지는 것을 볼 때 나로호는 1단 연소 구간에서 비행 중 폭발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러시아 측에 귀책 사유가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 2차 나로호 발사 실패의 원인이 한국 측에 있다는 결과가 나오면 내용은 달라진다. 발사 실패의 원인이 러시아가 제공한 하단 로켓에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 러시아 측이 3차 하단로켓 제공을 거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하단 로켓 제작비용도 우리 측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실패원인을 가리는 조사작업을 할 경우 한국 측이 불리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2006년 한국과 러시아가 체결한 우주기술보호협정(TSA)에 따라 한국의 참여가 제한적이어서 실패원인 조사에 얼마나 관여할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이계주 기자 lee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