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는 14일 야당의 사퇴 공세에 대해 "자리에 연연하지 않는다"면서도 "최소한 당분간은 국정을 수습하도록 하겠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그동안 대통령과 자주 만나면서 많은 대화를 나눴다"며 "지금 이 시간에 총리직을 훌훌 던지고 나가면 마음은 편하겠지만 현재는 국정을 수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한 책임문제에 대해선 "감사원도 군의 대응조치에 대해 엄정한 결과를 내놨다"며 "책임질 사람은 책임지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지난 5 · 18 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공식 추모곡으로 지정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원인이 어떻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며 "내년부터는 이번처럼 (5 · 18 민주화운동)행사가 두 쪽 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종시 처리와 관련해선 "세종시는 국책사업이고 역사의식과 애국심이 있으면 정략적으로 만든 세종시 원안을 지지하지 못할 것"이라며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 합리적 방향으로 국회에서 빨리 처리해 달라"고 주문했다.

조배숙 민주당 의원이 '총리가 될 때 세종시 수정을 절대적 목표로 생각하지 않았느냐'고 묻자 정 총리는 "'세종시 총리'라고 불리는 건 부끄럽지 않지만 세종시 일만을 하기 위해 총리가 된 것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그는 "선거 후 실시된 언론사 여론조사 결과 수정안 지지율이 전국적으로 절반을 넘었고 충청권도 4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국회가 국가 미래와 지역발전 차원에서 합리적인 결론을 내려달라"며 "눈앞에 있는 표보다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하는 역사의식으로 잘못된 일을 재검토하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4대강 사업과 관련,"4대강 사업의 규모를 줄이거나 속도를 조절할 계획이 현재는 없다"고 말했다. "4대강 사업은 이미 시작됐고 그 의도가 좋은 데다 한국 경제능력으로 충분히 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4대강 사업이 심판을 받은 게 아니냐'는 야당 의원들의 질문에 "지방선거는 지방일꾼을 뽑는 선거"라며 "거기에서 이겼다고 해서 중앙정부에서 계획하는 국책사업에 대해 하지 말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