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CEO 절반 "하반기 최대 불안요인은 남유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국내 최고경영자(CEO) 2명 가운데 1명은 하반기 최대 불안요인으로 남유럽 재정위기를 꼽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4일 금융위원회,조세위원회,중견기업위원회,중소기업위원회 등 산하 11개 위원회 소속 CEO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CEO 대상 최근 경제현안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조사대상의 52.7%가 하반기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남유럽 재정위기’를 꼽았다고 밝혔다.
유가·원자재가 및 환율 불안(14.7%) 부동산 버블 붕괴(12.7%) 물가불안(8.0%) 천안함 사건에 의한 남북관계 불안(6.0%)이 뒤를 이었다.하반기 경제상황 전망에 대해선 응답자의 57.3%가 ‘금년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으며,‘금년 상반기보다 나아질 것’이란 응답은 28.7%로 집계됐다.‘나빠질 것’이란 전망은 14.0%였다.
최근 경영 애로요인으로는 절반 이상인 54.7%가 ‘내수위축’을 꼽았으며,하반기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정책과제로는 세계경제 불안에 따른 환율 원자재가 안정(35.3%)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엔 92%의 CEO가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경기회복이 불확실하기 때문(61.6%)이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으며,적절한 금리인상시기는 내년 상반기라는 의견이 46.0%,올해 4분기가 31.3%로 집계됐다.
이현석 대한상의 전무는 “최근 우리경제가 회복되고 있지만 남유럽 재정위기 확산,유가·원자재가 및 환율 불안 등이 하반기 경영 악재로 자리잡을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등 출구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신중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
대한상공회의소는 14일 금융위원회,조세위원회,중견기업위원회,중소기업위원회 등 산하 11개 위원회 소속 CEO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CEO 대상 최근 경제현안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조사대상의 52.7%가 하반기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남유럽 재정위기’를 꼽았다고 밝혔다.
유가·원자재가 및 환율 불안(14.7%) 부동산 버블 붕괴(12.7%) 물가불안(8.0%) 천안함 사건에 의한 남북관계 불안(6.0%)이 뒤를 이었다.하반기 경제상황 전망에 대해선 응답자의 57.3%가 ‘금년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으며,‘금년 상반기보다 나아질 것’이란 응답은 28.7%로 집계됐다.‘나빠질 것’이란 전망은 14.0%였다.
최근 경영 애로요인으로는 절반 이상인 54.7%가 ‘내수위축’을 꼽았으며,하반기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정책과제로는 세계경제 불안에 따른 환율 원자재가 안정(35.3%)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엔 92%의 CEO가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경기회복이 불확실하기 때문(61.6%)이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으며,적절한 금리인상시기는 내년 상반기라는 의견이 46.0%,올해 4분기가 31.3%로 집계됐다.
이현석 대한상의 전무는 “최근 우리경제가 회복되고 있지만 남유럽 재정위기 확산,유가·원자재가 및 환율 불안 등이 하반기 경영 악재로 자리잡을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등 출구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신중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