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세종시 수정안을 상임위에서 표결처리할 경우 현재로선 부결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 관계자는 16일 "수정안이 국회에서 부결되면 원안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원안+α'등 새로운 대안을 내놓지 않을 것이란 설명이다. 원안회귀에 따른 엄청난 후폭풍이 예상된다. 정부가 수정안에서 제시했던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의 청사진이 물거품이 되기 때문이다. 우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세종시 유치가 없던 일로 된다. 입주기업에 대한 원형지 저가 공급 및 세제 혜택 등 각종 인센티브도 사라진다. 이 같은 인센티브를 전제로 투자계획을 확정했던 삼성 한화 웅진 롯데 등도 철회할 수밖에 없다.

여권 관계자는 "충남 연기 · 공주에서 수정안 지지 여론이 적지 않다"면서 "수정안 폐기로 기업과 대학이 못 오고 과학벨트도 다른 지역으로 가면 원안을 주장했던 정치권 등이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수정안이 폐기되면 세종시 건설공사는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원안이든 수정안이든 큰 관계가 없는 도로 및 토목공사,그리고 시범단지 아파트 사업 등은 진행되고 있다. 다만 행정기관이 이전할 정부청사 공사는 총리실 건물만 제외하고 모두 중단된 상태다. 총리실 세종시 기획단 관계자는 "토목공사나 도로공사 등 대부분의 공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정부청사 건물은 공사발주를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원안에 따라 공사가 진행될 경우 문제점이 적지 않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기업 대학 등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자족기능이 턱없이 부족하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7년 세종시 설계를 총지휘했던 안건혁 서울대 교수도 "인구 50만 도시라는 그림만 그렸지 구체안이 없다"고 지적했다. 수정안은 과학벨트 · 기업 · 대학 등의 거점적 자족기능을 대폭 보강했지만 원안에는 대부분 아파트와 상가 위주로 개발하도록 돼 있다. 72.9㎢(약 2200만평)의 넓은 땅에 9부2청2처의 중앙행정기관과 아파트 · 상가 등으로만 채워질 공산이 농후하다. 정부 관계자는 "수도분할에 따른 국정의 비효율성 문제는 별개로 치더라도 원안은 도시 계획적 측면에서 자족기능이 너무 미흡하게 설계돼 있다"고 말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