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인터뷰] "유럽 르네상스는 알면서 '세종 르네상스'를 모르는 게 현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두 개의 르네상스》이청승 베세토 회장
"15세기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중세의 암흑기로부터 벗어나 인간의 자아를 발견한 르네상스가 일어났는데 그에 앞서 조선에서는 세종대왕이 인간 중심의 세상을 지향하며 또다른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죠.그런데 서구의 르네상스는 잘 알면서 우리의 르네상스는 모릅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했을 뿐만 아니라 얼마나 인본주의를 폭넓게 실천했는지 알고 이를 계승해야 합니다. "
지난해 세종문화회관 사장을 그만두고 알타이경제문화연대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청승 베세토 회장(65 · 사진)은 요즘 만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이야기한다. '르네상스 전도사'를 자처하며 "'세종 르네상스'를 이어받아 우리의 문화를 잘 알고 경제에 접목할 때 힘을 가질 수 있으며 세계의 중심축이 아시아로 옮겨오는 이 시기에 주역을 맡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 회장이 최근 이런 생각을 담은 책 《두 개의 르네상스》(베세토 펴냄)를 펴냈다. 그는 이 책에서 자신이 세종대왕을 다시 만나 관심을 갖고 공부하게 된 이유와 세종이 만든 르네상스의 구체적인 내용,21세기 한국이 르네상스 운동을 새로 벌여야 하는 까닭 등을 조목조목 설명한다.
"세종대왕은 백성을 하늘로 보고 인간중심의 세상을 연 분입니다. 그 분은 사대사상에 젖은 대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백성들을 위해 한글을 만드셨고,만드신 다음에도 끝없이 토론하고 설득하며 3년을 보냈습니다. 자신은 고름을 한 종지나 짜내는 고통을 겪으면서도 관노비에게 130일이나 출산휴가를 주게 했고,관노비들의 남편에게도 30일간의 산간(産看)휴가를 줬습니다. '천하에 돌봐줄 사람이 없이 가여운 자가 노비인데 그 남편에게 휴가를 주지 않으니 관노비들이 아이를 낳다 죽는 일이 많은 것 아닌가'라고 하셨답니다. 이런 세종의 민본주의,인본주의를 시대정신,한국의 정신,아시아의 정신으로 살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
이 회장은 그래서 세종문화회관 사장 시절 광화문광장에 세종대왕의 동상을 세우고 세종문화회관 내에 '세종르네상스 과정'을 개설하는 등 세종대왕을 중심으로 한 신르네상스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한류우드㈜ 고문과 제80회 춘향제전위원장,한 · 중 · 일 문화공동체를 지향하는 베세토 회장에다 최근에는 사단법인으로 출범한 알타이경제문화연대 집행위원장까지 맡아 '동양적 르네상스'의 범위를 아시아 전역으로 넓히고 있다.
그는 "한국은 문화강국으로서 잠재력이 매우 큰 나라"라며 최근의 한류 열풍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했다. 예전 조선통신사도 한류의 일원이었고,일본에 문명을 전한 백제의 박사들도 한류의 선구자들이었다는 것.따라서 문화와 정보기술(IT)을 접목해 21세기 신 르네상스 운동의 기치를 지금부터 들어야 우리가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다고 그는 거듭 강조했다. ㈜베세토 (02)3662-1211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
지난해 세종문화회관 사장을 그만두고 알타이경제문화연대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청승 베세토 회장(65 · 사진)은 요즘 만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이야기한다. '르네상스 전도사'를 자처하며 "'세종 르네상스'를 이어받아 우리의 문화를 잘 알고 경제에 접목할 때 힘을 가질 수 있으며 세계의 중심축이 아시아로 옮겨오는 이 시기에 주역을 맡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 회장이 최근 이런 생각을 담은 책 《두 개의 르네상스》(베세토 펴냄)를 펴냈다. 그는 이 책에서 자신이 세종대왕을 다시 만나 관심을 갖고 공부하게 된 이유와 세종이 만든 르네상스의 구체적인 내용,21세기 한국이 르네상스 운동을 새로 벌여야 하는 까닭 등을 조목조목 설명한다.
"세종대왕은 백성을 하늘로 보고 인간중심의 세상을 연 분입니다. 그 분은 사대사상에 젖은 대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백성들을 위해 한글을 만드셨고,만드신 다음에도 끝없이 토론하고 설득하며 3년을 보냈습니다. 자신은 고름을 한 종지나 짜내는 고통을 겪으면서도 관노비에게 130일이나 출산휴가를 주게 했고,관노비들의 남편에게도 30일간의 산간(産看)휴가를 줬습니다. '천하에 돌봐줄 사람이 없이 가여운 자가 노비인데 그 남편에게 휴가를 주지 않으니 관노비들이 아이를 낳다 죽는 일이 많은 것 아닌가'라고 하셨답니다. 이런 세종의 민본주의,인본주의를 시대정신,한국의 정신,아시아의 정신으로 살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
이 회장은 그래서 세종문화회관 사장 시절 광화문광장에 세종대왕의 동상을 세우고 세종문화회관 내에 '세종르네상스 과정'을 개설하는 등 세종대왕을 중심으로 한 신르네상스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한류우드㈜ 고문과 제80회 춘향제전위원장,한 · 중 · 일 문화공동체를 지향하는 베세토 회장에다 최근에는 사단법인으로 출범한 알타이경제문화연대 집행위원장까지 맡아 '동양적 르네상스'의 범위를 아시아 전역으로 넓히고 있다.
그는 "한국은 문화강국으로서 잠재력이 매우 큰 나라"라며 최근의 한류 열풍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했다. 예전 조선통신사도 한류의 일원이었고,일본에 문명을 전한 백제의 박사들도 한류의 선구자들이었다는 것.따라서 문화와 정보기술(IT)을 접목해 21세기 신 르네상스 운동의 기치를 지금부터 들어야 우리가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다고 그는 거듭 강조했다. ㈜베세토 (02)3662-1211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