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위안화 무역결제를 대폭 확대하면서 위안화의 국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인도 브라질 등 교역국들이 요구해온 위안화 절상 문제는 외면,중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특히 오는 26~27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위안화 절상을 다시 공론화하려는 미국의 움직임에 대해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한동안 가라앉았던 양국 간 갈등이 재점화될 분위기다.

18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그동안 홍콩 마카오 한국 등 아시아 10여개국에만 적용해온 위안화 무역결제를 모든 교역국에 확대 적용키로 했다. 또 상하이와 광둥성 4개 도시에 있는 기업에만 위안화 결제를 허용하던 것을 헤이룽장성을 비롯한 20개 성으로 확대키로 했다.

◆위안화 국제화 착착 추진

중국이 위안화 결제를 확대하는 것은 위안화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들기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미국의 무역적자가 지속되면서 달러 가치 하락에 따른 보유 외환의 가치 하락을 우려해왔다. 위안화 결제가 확산되면 중국 정부는 지금처럼 과도하게 달러 자산을 보유할 필요성이 적어지고,중국 수출업체들은 통화가치 변동에 따른 환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특히 최근 유로화 가치 하락으로 중국 수출업체들이 많은 손실을 보고 있어 위안화 결제가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위안화 무역결제 규모는 이 제도가 도입된 지난해 7월 말부터 지난 5월 말까지 총 445억5000만위안(약 7조5700억원)가량에 달했다. 그러나 올 들어 5월 말까지 중국의 교역액이 1조1000억위안인 점을 감안하면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위안화결제가 제대로 확산되지 않는 것은 중국 정부가 위안화의 완전 태환을 보장하지 않아 해외에서 위안화의 용도가 제한돼 있는 데다 당분간 그런 정책을 바꿀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G20회의 앞두고 미 · 중 대립

중국은 G20 정상회의에서 위안화 절상 문제를 거론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도 밝혔다. 친강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위안화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도 아니며 세계경제의 불균형을 시정하는 데 해결책을 제시하지도 않는다"며 "G20 정상회의는 위안화 문제를 논의하는 데 적절한 무대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정부 고위 관계자도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G20 정상회의가 특정 국가를 손가락질하는 장으로 이용돼서는 안 된다"며 "만약 G20에서 특정 사안을 지적한다면 이는 시장의 혼동과 오해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글로벌 경제에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최근 "위안화가 고평가돼 있다"며 절상 요구에 반발하는 논평을 실었다.

중국의 반발은 미국 의회가 "G20 정상회의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위안화 절상을 촉구해야 한다"고 압박한 데 따른 것이다. 미국은 최근 대중국 무역적자가 4월 193억1000만달러로 3월의 169억달러에 비해 14.2% 늘어난 것으로 발표되자 위안화 절상 압력을 부쩍 높이고 있다.

민주당의 샌더 레빈 하원 세입위원장은 "미국은 7년간 인내해왔다"며 "G20 회의를 전후해 중국이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이에 대해 미국 정부가 나서지 않을 경우 미국 의회가 행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티모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은 최근 의회에서 "위안화 환율 왜곡이 균형 잡힌 글로벌 경제회복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