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미남' 바이올리니스트 고토 류, "쇼숑의 '시곡' 들려드릴게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월 2일 호암아트홀에서 공연
일본 최고의 인기 클래식 연주자인 바이올리니스트 고토 류(22)는 '엄친아'급 꽃미남이다.
7세에 삿포로 퍼시픽 뮤직 페스티벌에서 현란한 기교를 요구하는 파가니니의 '피아노협주곡 1번' 전곡을 완주하며 데뷔했다. 로린 마젤,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등 세계적인 거장들과 함께 무대에 섰고,지금은 하버드대 물리학과에서 공부하고 있다.
그는 일본 후지TV가 1996년부터 10년 동안 다큐멘터리 '고토 류의 오디세이'를 방영했을 만큼 예고된 스타였다. 게다가 그의 누나는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인 미도리다. 세 살 때 처음 바이올린 활을 잡은 그는 자신의 천재성과 누나의 후광 덕분에 콩쿠르에 참가하지 않고도 세계 유수의 무대에 서며 유명세를 키워왔다. 다음 달 2일 서울 호암아트홀에서 처음 내한 독주회를 갖는 그와 이메일 인터뷰를 가졌다.
"사실 인기가 많아서 좋은 연주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진다고 생각해요. 세기의 연주자들은 콩쿠르를 통해 경력을 쌓고 주목받았지만 저는 어릴 때부터 유명해서 콩쿠르 없이도 연주 기회가 많았거든요. 그렇다고 인기가 제 음악 스타일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닙니다. 앞으로도 제가 하고 싶은 대로 하면서 성장하고 싶어요. "
그는 어렸을 땐 연주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당시에는 단지 연주하는 방법을 알 뿐이었고 연주 연습을 싫어했다는 것.그는 "지금도 연습이 마냥 좋은 것은 아니지만 여러 장르의 음악을 들으면서 제 음악을 보다 폭넓게 볼 수 있게 됐고,클래식의 새로운 점을 꾸준히 발견하며 감탄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리학 공부가 음악 연주에 특별히 도움을 주지는 않지만 심리적으로 좋은 영향을 줍니다. 음악만 했을 때보다 공부,스포츠 등 다양한 관심사들이 더욱 균형 잡힌 삶을 꾸리게 해주니까요. 연주자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나 한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나 이런 균형은 계속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
이번 연주회에서 그는 그리고라스 디니쿠의 '호라 스타카토',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10번',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쇼숑의 '시곡' 등을 연주한다. 어떤 곡이 관객에게 잘 전달될지,자신이 어떤 곡을 연주하고 싶고,어느 정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싶은지,연주회에 어떤 공감대가 있는지 등을 따져 선곡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하지만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주자와 관객의 음악에 대한 열정입니다. 특히 쇼숑의 '시곡'은 제가 가장 들려드리고 싶은 곡이에요. 매우 화려하고 기이한 작품인데 제가 가장 좋아하고 잘 연주할 수 있는 곡이거든요. " 1577-5266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7세에 삿포로 퍼시픽 뮤직 페스티벌에서 현란한 기교를 요구하는 파가니니의 '피아노협주곡 1번' 전곡을 완주하며 데뷔했다. 로린 마젤,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등 세계적인 거장들과 함께 무대에 섰고,지금은 하버드대 물리학과에서 공부하고 있다.
그는 일본 후지TV가 1996년부터 10년 동안 다큐멘터리 '고토 류의 오디세이'를 방영했을 만큼 예고된 스타였다. 게다가 그의 누나는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인 미도리다. 세 살 때 처음 바이올린 활을 잡은 그는 자신의 천재성과 누나의 후광 덕분에 콩쿠르에 참가하지 않고도 세계 유수의 무대에 서며 유명세를 키워왔다. 다음 달 2일 서울 호암아트홀에서 처음 내한 독주회를 갖는 그와 이메일 인터뷰를 가졌다.
"사실 인기가 많아서 좋은 연주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진다고 생각해요. 세기의 연주자들은 콩쿠르를 통해 경력을 쌓고 주목받았지만 저는 어릴 때부터 유명해서 콩쿠르 없이도 연주 기회가 많았거든요. 그렇다고 인기가 제 음악 스타일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닙니다. 앞으로도 제가 하고 싶은 대로 하면서 성장하고 싶어요. "
그는 어렸을 땐 연주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당시에는 단지 연주하는 방법을 알 뿐이었고 연주 연습을 싫어했다는 것.그는 "지금도 연습이 마냥 좋은 것은 아니지만 여러 장르의 음악을 들으면서 제 음악을 보다 폭넓게 볼 수 있게 됐고,클래식의 새로운 점을 꾸준히 발견하며 감탄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리학 공부가 음악 연주에 특별히 도움을 주지는 않지만 심리적으로 좋은 영향을 줍니다. 음악만 했을 때보다 공부,스포츠 등 다양한 관심사들이 더욱 균형 잡힌 삶을 꾸리게 해주니까요. 연주자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나 한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나 이런 균형은 계속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
이번 연주회에서 그는 그리고라스 디니쿠의 '호라 스타카토',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10번',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쇼숑의 '시곡' 등을 연주한다. 어떤 곡이 관객에게 잘 전달될지,자신이 어떤 곡을 연주하고 싶고,어느 정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싶은지,연주회에 어떤 공감대가 있는지 등을 따져 선곡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하지만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주자와 관객의 음악에 대한 열정입니다. 특히 쇼숑의 '시곡'은 제가 가장 들려드리고 싶은 곡이에요. 매우 화려하고 기이한 작품인데 제가 가장 좋아하고 잘 연주할 수 있는 곡이거든요. " 1577-5266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