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증권 ·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21일 물가연동채 발행을 앞두고 최근 기획재정부에 관련 회계처리 기준을 명확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물가연동채는 물가가 오르면 물가 상승분만큼 액면가도 커지는 국고채로,2007년 3월 처음 발행됐으나 수요 부족 등을 이유로 1년 반 만에 발행이 중단됐었다.
보험사들이 투자에 난색을 표하는 이유는 물가연동채의 회계처리 기준이 모호한 탓이다. 정부는 물가연동채를 도입하면서 '매도가능증권'으로만 회계처리하던 것을 2008년 9월 '만기보유증권'으로도 처리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했다. 고객 자금을 장기투자할 목적으로 만기보유증권을 선호하는 보험사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다.
하지만 당시 명확한 회계처리 기준을 마련하지 못한 게 화근이었다. 매도가능증권은 채권 가치변동을 매년 인식(시가평가)하고 만기보유증권은 발행단계에서 원금과 이자가 확정되는데,물가연동채는 매년 원금과 이자가 달라져 보험사들의 회계처리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 것이다. 문홍철 동부증권 연구원은 "채권가치가 만기 전에 계속 변해 손익을 확정하기 어려운 데다 만기에 가서 손실이 날 수도 있어 보험사들이 물가연동채 보유를 꺼리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물가연동채 입찰 참여에 적극적인 연기금,자산운용사와 달리 상당수 보험사들은 명확한 회계처리 기준이 마련될 때까지 참여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2008년에도 회계처리 문제 등으로 유동성이 부족해지자 재정부가 물가연동채를 되사줬던 시행착오가 있었다. 한 보험사 자산운용팀 관계자는 "인플레이션을 헤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투자를 검토했으나 회계처리 때문에 입찰에 나서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정부 관계자는 "현재 회계기준안에서 방침 자체는 모호한 게 없다"면서도 "보험사 측의 건의가 있어 회계기준에 대한 검토를 이달 중 한국회계기준원에 요청키로 했다"고 말했다.
서보미 기자 bm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