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천안함 사태의 후속 조치로 오는 11월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의 핵심 기구인 '운영전문가그룹'(OEG)에 정식 멤버로 참여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20일 "천안함 사태에 따른 후속 조치 차원에서 올 11월께 역내 PSI 해상 차단훈련을 검토하는 한편 PSI 운영의 핵심 주체인 OEG에 가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5월25일 북한의 2차 핵실험이 있던 다음 날 PSI 정식 참여를 선언했다. 한국이 PSI를 이끄는 일종의 운영위원회인 OEG의 정식 멤버가 된다면 현재 97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PSI 운영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OEG는 PSI에 대한 기여도에 따라 20개국으로 구성된 협의체로서 아 · 태지역에서는 미국과 일본,호주,뉴질랜드,캐나다,싱가포르 등이 참여하고 있다. OEG에 가입할 경우 PSI 운영방식을 논의하는 것은 물론 불법무기와 관련된 북한의 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기존 가입국이 확보한 풍부한 사전정보를 공유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11월 일본에서 열리는 OEG회의에 정식 멤버로 참여하기 위해 현재 기존 회원국으로부터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지난해 6월 폴란드에서 열린 유럽지역 운영전문가그룹 회의에 초청을 받아 참석한 바 있으나 정식 멤버로 가입하지는 못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10월 말께 부산에서 아 · 태지역 PSI 워크숍을 개최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 PSI 워크숍은 각국의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