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4.8조원 전망"-미래에셋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래에셋증권은 22일 삼성전자에 대해 올 2분기 실적이 1분기 보다 더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00만원을 유지했다.
이 증권사 김장열 애널리스트는 "휴대폰 신제품 출시 지연으로 인해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보이지만 반도체 부문에서 높은 가격과 출하증가율로 인해 2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0% 증가한 4조8400억원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2분기 휴대폰 중심인 통신부분의 영업이익은 당초 예상인 1조400억원에 못 미치는 7800억원이 될 것"이라면서 "휴대폰의 사업 부진을 반도체가 만회하면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진단했다.
그는 "3분기에는 D램 출하증가율이 2분기의 10% 중반 수준보다 커진 20% 이상 나타날 것"이라면서 "반도체 부문의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또 스마트폰 '갤럭시S' 등 신제품 출시에 따른 매출 증가도 3분기부터 잡힐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3분기에는 영업이익이 5조원 이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반도체 부문의 성장과 통신 부문 등의 매출 신장으로 이익모멘텀이 계속 지속돼 높은 투자매력은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최성남 기자 sulam@hankyung.com
이 증권사 김장열 애널리스트는 "휴대폰 신제품 출시 지연으로 인해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보이지만 반도체 부문에서 높은 가격과 출하증가율로 인해 2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0% 증가한 4조8400억원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2분기 휴대폰 중심인 통신부분의 영업이익은 당초 예상인 1조400억원에 못 미치는 7800억원이 될 것"이라면서 "휴대폰의 사업 부진을 반도체가 만회하면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진단했다.
그는 "3분기에는 D램 출하증가율이 2분기의 10% 중반 수준보다 커진 20% 이상 나타날 것"이라면서 "반도체 부문의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또 스마트폰 '갤럭시S' 등 신제품 출시에 따른 매출 증가도 3분기부터 잡힐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3분기에는 영업이익이 5조원 이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반도체 부문의 성장과 통신 부문 등의 매출 신장으로 이익모멘텀이 계속 지속돼 높은 투자매력은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최성남 기자 sul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