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곳간이 찰 땐 도둑 경계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회복기엔 부정부패 더 늘어
기업 리스크방지체제 구축하길
기업 리스크방지체제 구축하길
최근 국내 경기는 지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8.1%를 기록하며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생산설비투자지수도 연말까지 전년 대비 20~30%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출 역시 매달 30~40% 증가세를 보이고,국내 소비지수도 10~15%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경기 인식도 13개월째 긍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유럽발 금융 불안과 같이 글로벌 경기 회복에 위협을 줄 만한 변수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나,현재로서는 국내 경제의 회복 흐름을 꺾을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기 회복과 함께 기업 활동에 있어 금융사고,분식회계,부실기업 상장 폐지 등 불미스러운 보도가 자주 눈에 띄어 우려를 갖게 한다.
옛말에 "곳간에서 인심난다"는 말이 있다. 곳간이 차면 모두가 배불리 먹고 여유로워질 수도 있지만 이 틈을 타 안팎으로 도둑이 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같이 경제 침체기에서 벗어나 회복기로 접어들 때 기업들은 부정부패와 관련된 리스크 관리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기업이 중장기적 안목에서 지속가능한 윤리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부패 방지를 위한 내부 프로세스를 더욱 강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글로벌 회계 · 컨설팅 법인인 언스트앤영이 지난달 발표한 '제11차 글로벌 윤리경영 서베이' 결과는 국내외 기업들에게 경종을 울려주는 사례다. 주요 글로벌 기업의 최고재무책임자(CFO)와 내부통제담당관 등 1400여명의 설문대상자 중 무려 76%가 "사기,뇌물 수수 등 부정부패에 따른 이사의 법적 책임에 대해 이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부정 관련 리스크에 적극 대응중인 기업은 많지 않았다. 예를 들어 과거 1년간 이사회로부터 부정부패 방지와 관련해 최소 한 차례 이상 검토 요청을 받은 CFO는 전체 응답자의 40%에 불과했다.
이 같은 상황은 국내 기업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라 원가 절감,현금 확보 등의 의제가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과거 투명성 강화 및 부패 방지를 위한 노력이 잠시 주춤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일련의 코스닥기업 상장 폐지 사태에서 드러난 것처럼 국내 기업의 부정 리스크 역시 경기 회복기에 맞물려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정부패는 기업은 물론 국가의 미래마저 병들게 하는 악성 종양과 같다.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최근 그리스의 재정 위기 이면에도 뿌리깊은 부패 문화가 자리잡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제투명성기구가 지난 해 말 발표한 연례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를 보면 한국은 39위에 머물렀다. 이러한 부패 지수는 세계 10위권 경제 규모에 비해 매우 부끄러운 수준이다. 물론 여기에는 정당 · 입법기관 및 행정기관 등 공공 부문의 부패 수준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 등 민간부문에서의 부패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고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은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는 '완벽경영' 철학을 남겼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사후 대응보다는 예견되는 위험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완벽경영을 실천하는 한 방법일 것이다. 기업 스스로 부패 등의 부정적 요인을 미연에 잘라내지 못한다면 이후 더 큰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갈수록 복잡다단해지는 경영 환경에서 구조적인 리스크 방지 체제를 사전에 구축해 두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했으면 한다.
정준석 언스트앤영 한영 부회장
정부는 생산설비투자지수도 연말까지 전년 대비 20~30%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출 역시 매달 30~40% 증가세를 보이고,국내 소비지수도 10~15%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경기 인식도 13개월째 긍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유럽발 금융 불안과 같이 글로벌 경기 회복에 위협을 줄 만한 변수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나,현재로서는 국내 경제의 회복 흐름을 꺾을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기 회복과 함께 기업 활동에 있어 금융사고,분식회계,부실기업 상장 폐지 등 불미스러운 보도가 자주 눈에 띄어 우려를 갖게 한다.
옛말에 "곳간에서 인심난다"는 말이 있다. 곳간이 차면 모두가 배불리 먹고 여유로워질 수도 있지만 이 틈을 타 안팎으로 도둑이 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같이 경제 침체기에서 벗어나 회복기로 접어들 때 기업들은 부정부패와 관련된 리스크 관리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기업이 중장기적 안목에서 지속가능한 윤리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부패 방지를 위한 내부 프로세스를 더욱 강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글로벌 회계 · 컨설팅 법인인 언스트앤영이 지난달 발표한 '제11차 글로벌 윤리경영 서베이' 결과는 국내외 기업들에게 경종을 울려주는 사례다. 주요 글로벌 기업의 최고재무책임자(CFO)와 내부통제담당관 등 1400여명의 설문대상자 중 무려 76%가 "사기,뇌물 수수 등 부정부패에 따른 이사의 법적 책임에 대해 이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부정 관련 리스크에 적극 대응중인 기업은 많지 않았다. 예를 들어 과거 1년간 이사회로부터 부정부패 방지와 관련해 최소 한 차례 이상 검토 요청을 받은 CFO는 전체 응답자의 40%에 불과했다.
이 같은 상황은 국내 기업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라 원가 절감,현금 확보 등의 의제가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과거 투명성 강화 및 부패 방지를 위한 노력이 잠시 주춤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일련의 코스닥기업 상장 폐지 사태에서 드러난 것처럼 국내 기업의 부정 리스크 역시 경기 회복기에 맞물려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정부패는 기업은 물론 국가의 미래마저 병들게 하는 악성 종양과 같다.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최근 그리스의 재정 위기 이면에도 뿌리깊은 부패 문화가 자리잡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제투명성기구가 지난 해 말 발표한 연례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를 보면 한국은 39위에 머물렀다. 이러한 부패 지수는 세계 10위권 경제 규모에 비해 매우 부끄러운 수준이다. 물론 여기에는 정당 · 입법기관 및 행정기관 등 공공 부문의 부패 수준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 등 민간부문에서의 부패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고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은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는 '완벽경영' 철학을 남겼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사후 대응보다는 예견되는 위험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완벽경영을 실천하는 한 방법일 것이다. 기업 스스로 부패 등의 부정적 요인을 미연에 잘라내지 못한다면 이후 더 큰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갈수록 복잡다단해지는 경영 환경에서 구조적인 리스크 방지 체제를 사전에 구축해 두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했으면 한다.
정준석 언스트앤영 한영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