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지수 편입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무산됐다. 예상된 결과여서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전망이다. 한국 증시가 이미 선진시장에 준하는 대우를 받고 있어 외국인의 태도에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MSCI 지수사업을 총괄하는 MSCI바라(Barra)는 올해 시장분류 결과 한국과 대만을 신흥시장에 잔류시키기로 결정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신흥시장 편입을 기대했던 아랍에미리트(UAE)와 카타르도 프론티어시장에 남았다. 이에 따라 MSCI 지수는 △선진시장 24개국 △신흥시장 22개국 △프론티어시장 25개국의 기존 구성을 유지했다. 한국과 대만은 '편입검토 대상'(Watch List)에 남아 내년 6월 선진시장 진입을 다시 노리게 됐다.

MSCI가 한국의 선진지수 편입 불가의 근거로 제시한 것들은 지난해 지적사항과 거의 같다. MSCI는 △실질적 역외 외환시장 부재와 역내 외환시장의 거래시간 제한에 따른 환금성 제약 △외국인 등록(ID)제에 따른 장외 대량매매,현물이전 등 불편 △시장정보 공급시 반경쟁적 관행 존재 등을 걸림돌로 꼽았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작년부터 외환거래 자유화,외국인 ID 등과 관련해 꾸준히 제도를 개선해왔다"며 "궁극적으로는 역외 외환시장,세제개편 등 보다 큰 제도개선 차원에서 검토가 필요한 사항들"이라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선 코스피200 등 지수사용권이 선진지수 편입의 핵심 이슈라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MSCI 측은 코스피200 등 시장정보를 싸게 가져가 상품을 고안한 뒤 해외시장에 상장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우리 측으로선 국내 자본시장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적정한 가격을 받아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금융위 관계자는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의 경우 작년 한국을 선진지수에 편입한 이후 한국거래소와 별도 협의를 통해 정보이용 협상을 타결한 사례가 있다"며 "지수 사용권은 선진지수 편입과는 별개로 논의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선진지수 편입 불발의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란 분석이다. 이날 외국인은 8일 만에 순매도로 돌아섰지만 매도 규모는 약 183억원에 그쳤다. 한치환 대우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의 매도 전환은 전날 미국시장 약세 때문이지 선진지수 편입 실패와는 관련이 없어 보인다"며 "한국 증시의 매력은 유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신흥시장 잔류가 오히려 더 나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크레디트스위스(CS)의 삭티 시바 아시아 · 이머징 전략헤드는 "MSCI 선진지수 편입은 글로벌 펀드 내에서 한국 비중이 크게 낮아진다는 의미여서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해영/노경목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