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초나라 '부자이야기'를 구약성경에서 본 듯한 까닭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 첸푸칭 지음 | 윤주필 옮김 | 지식산업사 | 712쪽 | 3만8000원
"초나라의 어느 부자가 양 99마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100마리까지 채우고 싶었다. 어느 날 읍내 친구 집에 놀러 갔는데 친구의 이웃은 가난한 사람이었지만 양 한 마리를 갖고 있었다. 그래서 부자는 그 가난한 이웃에게 찾아가서 말했다. '나에게는 양 99마리가 있는데 당신의 한 마리까지 가지게 되면 100마리가 될 것입니다. '"
6세기 중반 중국 양나라 원제(元帝) 소역(508~554)이 지은 《금루자》 '잡기'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그런데 너무나 비슷한 이야기가 《구약성경》 사무엘하 12장 1~4절에 나온다.
"한 도시에 두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한 사람은 부자였고 다른 한 사람은 가난했다. 부자는 많은 소와 양을 가지고 있었지만 가난한 사람은 품삯으로 얻어 기르는 암컷 새끼 양 말고는 아무것도 없었다. (중략) 손님이 그 부자의 집에 놀러 갔는데 부자는 자신의 소와 양을 손님에게 대접하기 아까워서 가난한 사람의 새끼 양을 빼앗아 손님에게 대접했다. "
중국의 원로 고전학자인 첸푸칭은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에서 《금루자》 '잡기'의 이야기가 중국에 전래된 최초의 서양 이야기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배경과 줄거리가 조금 다르지만 이야기 구조가 닮았다는 것.성경이 중국어로 번역된 것은 이보다 100년쯤 뒤의 일이지만,실크로드의 대상들이 성경 이야기를 중국에 전해 소역이 그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특히 '99'와 '1'이라는 숫자의 대비도 성경에서 비롯됐다고 첸푸칭은 설명한다. 《신약성경》 마태복음에 '어떤 사람이 양 100마리를 가지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한 마리가 길을 잃어버렸다. 그대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언의 본질과 문체적 특징,창작과정과 집필기법,세계 각국의 우언과 교류 등을 상세히 소개한다.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나오는 '두더지의 혼인' 등 한국의 우언도 포함돼 있다. 애지중지 키운 딸의 남편감으로 하늘,구름 등 분에 넘치는 상대를 고르다가 결국 두더지가 최고의 사윗감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는 내용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
6세기 중반 중국 양나라 원제(元帝) 소역(508~554)이 지은 《금루자》 '잡기'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그런데 너무나 비슷한 이야기가 《구약성경》 사무엘하 12장 1~4절에 나온다.
"한 도시에 두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한 사람은 부자였고 다른 한 사람은 가난했다. 부자는 많은 소와 양을 가지고 있었지만 가난한 사람은 품삯으로 얻어 기르는 암컷 새끼 양 말고는 아무것도 없었다. (중략) 손님이 그 부자의 집에 놀러 갔는데 부자는 자신의 소와 양을 손님에게 대접하기 아까워서 가난한 사람의 새끼 양을 빼앗아 손님에게 대접했다. "
중국의 원로 고전학자인 첸푸칭은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에서 《금루자》 '잡기'의 이야기가 중국에 전래된 최초의 서양 이야기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배경과 줄거리가 조금 다르지만 이야기 구조가 닮았다는 것.성경이 중국어로 번역된 것은 이보다 100년쯤 뒤의 일이지만,실크로드의 대상들이 성경 이야기를 중국에 전해 소역이 그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특히 '99'와 '1'이라는 숫자의 대비도 성경에서 비롯됐다고 첸푸칭은 설명한다. 《신약성경》 마태복음에 '어떤 사람이 양 100마리를 가지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한 마리가 길을 잃어버렸다. 그대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언의 본질과 문체적 특징,창작과정과 집필기법,세계 각국의 우언과 교류 등을 상세히 소개한다.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나오는 '두더지의 혼인' 등 한국의 우언도 포함돼 있다. 애지중지 키운 딸의 남편감으로 하늘,구름 등 분에 넘치는 상대를 고르다가 결국 두더지가 최고의 사윗감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는 내용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