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사업으로 집을 옮기는 세입자들에게 내년까지 1만6000채의 임대아파트가 우선 공급된다.

24일 국토해양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따르면 정부는 재개발 사업으로 철거 주택이 늘어나고 불안한 전세시장에 대처하기 위해 임대주택을 이처럼 운용키로 했다.

국토부는 올해 수도권에 지어지는 공공임대주택 중 임대 신청자들에게 공급하고 남는 물량의 50%가량인 약 8000채를 재개발 세입자들에게 우선 공급할 계획이다. 내년에도 8000채 정도를 추가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는 전세시장 상황을 봐가며 50%를 넘겨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대상 주택은 30년 이상 장기 거주 가능한 국민임대주택과 5년 · 10년간 살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 등이다.

서울지역에서 올해 재개발사업 추진으로 없어지는 주택 수는 2만5000~5만채,경기도는 약 1만2000채로 각각 추정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남양주,고양,부천 등지의 임대주택 가운데 미분양 물량이 많아 내년까지 1만6000채를 순환용 임대주택으로 전용하는 것은 무리가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올초부터 순환용 임대주택을 공급하려 했지만 재개발 조합 쪽에서 요청이 아직 없어 공급실적은 전무하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성남지역 도심 재개발로 살 곳을 잃은 철거민들이 부천이나 고양 쪽 임대주택을 주더라도 들어와 살기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철거민용 임대주택은 대부분 경기 · 인천지역에서 나올 전망이다. 서울시에선 올해 약 500채의 순환용 임대주택을 내놓을 계획이다. 순환용 임대주택이란 재개발지역 철거민들에게 재개발사업 기간에 일시적으로 들어가 살 수 있도록 공급하는 임대주택으로 철거민용 임대주택과 비슷한 개념이다.

신청일 현재 재개발 지역에 2년 이상 거주한 철거민으로서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평균 소득의 70% 이하인 사람이 대상이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