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따라 수익 쑥쑥…물가연동국채 '매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물가 3% 오르면 원금 3% 늘어 인플레 압박 커질수록 유리
증권사 창구서 매입ㆍ원금보장…만기 10년ㆍ중도 현금화 어려워
증권사 창구서 매입ㆍ원금보장…만기 10년ㆍ중도 현금화 어려워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며 시중에 유동 자금이 많이 풀려 있기 때문이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도 "현재의 금융완화 기조가 장기화되면 인플레이션과 자산가격 급등이 초래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물가가 오르면 금융상품의 실질금리는 낮아진다. 따라서 물가상승이 예상되면 이를 회피할 수 있는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 금(金)이나 원자재 등 실물자산이 대표적이다. 정부가 2년여 만에 발행한 물가연동국채도 인플레이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이다.
◆물가연동국채란
원금과 이자지급액을 물가에 따라 조정해 채권의 실질구매력을 보장한 상품이다. 원금은 기간별 물가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이자는 6개월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해 받는 구조다. 물가가 오르면 채권 원리금이 늘기 때문에 경기회복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물가가 하락하면 채권 원리금도 줄어들게 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증권회사 등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10년 만기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했다. 2008년 9월 이후 2년 만이다. 표면금리는 연 2.75%다. 당초 예상 발행치인 1700억원의 두 배 가까이 되는 3330억원어치가 발행됐다. 정부는 당분간 매달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한다는 계획이다.
기관투자가들은 구매한 물가연동국채를 다시 개인들에게 판매한다. 개인투자자들은 증권사 창구 등을 통해 1만원어치부터 구매할 수 있다.
◆물가 상승분만큼을 원리금에 반영
물가연동국채의 원금은 채권 액면가격에 채권 만기일 소비자 물가지수(CPI)를 채권발행일 물가지수로 나눈 값(물가계수)을 곱해 구한다. 물가가 상승하면 원금도 늘어난다. 물가상승분을 그대로 반영한다고도 할 수 있다. 이자 역시 액면가에 지급일과 만기일 간의 물가변동률,표면금리 등을 곱해 구한다.
이번에 발행된 물가연동국채의 표면금리가 연 2.75%다. 물가연동국채 100만원어치를 사고 1년 뒤 소비자 물가가 3% 오른다면 원금도 3% 늘어난 103만원으로 계산된다. 여기에 이자 연 2.75%를 얹어준다. 원금 100만원이 1년 후 원리금을 합쳐 105만8300원이 된다.
매년 물가가 최근 10년 평균치인 3.1%씩 오른다고 가정하면 표면금리 연 2.75%인 물가연동국채의 10년 뒤 세후 수익률은 63.1%에 달한다. 연 7.4% 이자를 주는 정기예금에 넣어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셈이다.
◆원금보장에 절세 효과까지
이번에 발행된 물가연동국채는 원금이 보장된다. 정부가 2007년 발행했던 물가연동국채는 만기일 물가가 떨어지면 원금보장이 되지 않아 투자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이번부터는 물가가 하락해도 원금을 보장해 주기로 했다.
물가연동국채의 또다른 매력은 세금이다. 이자소득의 경우 일반 채권처럼 이자소득세 15.4%를 물어야 하지만 원금 상승분은 비과세된다. 또 물가연동국채를 포함한 장기채는 4000만원이 넘는 금융소득에 대해 금융소득종합과세 분리과세(세율 30%)를 신청할 수 있어 거액 자산가에게 유리하다.
물가연동국채의 단점은 만기가 10년으로 길다는 것이다. 정부는 중도환매를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기 전 돈이 필요할 경우엔 증권사 창구를 통해 유통시장에서 직접 팔아야 한다. 이 경우 제값을 받는다고 보장할 수 없다. 그런 만큼 장기투자 목적이 아니면 매입하지 않는 게 좋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물가가 오르면 금융상품의 실질금리는 낮아진다. 따라서 물가상승이 예상되면 이를 회피할 수 있는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 금(金)이나 원자재 등 실물자산이 대표적이다. 정부가 2년여 만에 발행한 물가연동국채도 인플레이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이다.
◆물가연동국채란
원금과 이자지급액을 물가에 따라 조정해 채권의 실질구매력을 보장한 상품이다. 원금은 기간별 물가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이자는 6개월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해 받는 구조다. 물가가 오르면 채권 원리금이 늘기 때문에 경기회복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물가가 하락하면 채권 원리금도 줄어들게 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증권회사 등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10년 만기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했다. 2008년 9월 이후 2년 만이다. 표면금리는 연 2.75%다. 당초 예상 발행치인 1700억원의 두 배 가까이 되는 3330억원어치가 발행됐다. 정부는 당분간 매달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한다는 계획이다.
기관투자가들은 구매한 물가연동국채를 다시 개인들에게 판매한다. 개인투자자들은 증권사 창구 등을 통해 1만원어치부터 구매할 수 있다.
◆물가 상승분만큼을 원리금에 반영
물가연동국채의 원금은 채권 액면가격에 채권 만기일 소비자 물가지수(CPI)를 채권발행일 물가지수로 나눈 값(물가계수)을 곱해 구한다. 물가가 상승하면 원금도 늘어난다. 물가상승분을 그대로 반영한다고도 할 수 있다. 이자 역시 액면가에 지급일과 만기일 간의 물가변동률,표면금리 등을 곱해 구한다.
이번에 발행된 물가연동국채의 표면금리가 연 2.75%다. 물가연동국채 100만원어치를 사고 1년 뒤 소비자 물가가 3% 오른다면 원금도 3% 늘어난 103만원으로 계산된다. 여기에 이자 연 2.75%를 얹어준다. 원금 100만원이 1년 후 원리금을 합쳐 105만8300원이 된다.
매년 물가가 최근 10년 평균치인 3.1%씩 오른다고 가정하면 표면금리 연 2.75%인 물가연동국채의 10년 뒤 세후 수익률은 63.1%에 달한다. 연 7.4% 이자를 주는 정기예금에 넣어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셈이다.
◆원금보장에 절세 효과까지
이번에 발행된 물가연동국채는 원금이 보장된다. 정부가 2007년 발행했던 물가연동국채는 만기일 물가가 떨어지면 원금보장이 되지 않아 투자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이번부터는 물가가 하락해도 원금을 보장해 주기로 했다.
물가연동국채의 또다른 매력은 세금이다. 이자소득의 경우 일반 채권처럼 이자소득세 15.4%를 물어야 하지만 원금 상승분은 비과세된다. 또 물가연동국채를 포함한 장기채는 4000만원이 넘는 금융소득에 대해 금융소득종합과세 분리과세(세율 30%)를 신청할 수 있어 거액 자산가에게 유리하다.
물가연동국채의 단점은 만기가 10년으로 길다는 것이다. 정부는 중도환매를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기 전 돈이 필요할 경우엔 증권사 창구를 통해 유통시장에서 직접 팔아야 한다. 이 경우 제값을 받는다고 보장할 수 없다. 그런 만큼 장기투자 목적이 아니면 매입하지 않는 게 좋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