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노동계가 연금지급 개시 연령을 늦추는 정부 정책에 반발해 24일(현지시간) 대규모 파업에 돌입했다. 오는 9월로 예정된 연금개혁안의 의회 통과가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AFP통신은 25일 프랑스 최대 노동단체인 노동총동맹(CGT) 베르나르 티보 위원장의 말을 인용, "현재 60세인 연금지급 개시 연령을 62세로 높이려는 프랑스 정부에 반대하는 200만명의 노조원들이 전국 200여곳에서 시위와 파업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날 파업에는 철도와 항공 노조 및 교사 노조가 참여해 파리 등 주요 도시의 공공 서비스 기능이 마비됐다. 프랑스 국영철도(SNCF)에서는 약 40%의 직원들이 파업에 참여해 파리를 오가는 주요 철도 운행이 평소의 절반으로 줄었다. 파리 샤를드골 공항과 오를리 공항의 항공기 운항도 약 15% 취소됐다고 공항 당국이 전했다.

니콜라 사르코지 정부는 최근 재정적자 축소를 위해 현재 60세인 연금지급 개시 연령을 2018년까지 62세로 미루는 내용의 연금개혁안을 확정했다. 이 개혁안은 다음 달 각료 회의를 거쳐 9월 의회에 제출된다. 프랑스의 연금 재정적자 규모는 지난해 82억유로에서 올해 300억유로로 늘어나고,2050년에는 1000억유로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프랑스 노동계는 연금개혁안 의회 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9월 대대적인 총파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노동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연금지급 개시 연령을 높이는 것이 불공평하다고 생각한다"며 "정부가 현재의 연금개혁안을 의회에 제출하지 못하도록 언제든 거리로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여론조사기관인 BVA에 따르면 프랑스 국민의 약 3분의 2는 노동계의 파업을 지지하고 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